[사회] "그놈의 XXX" 가족 살해 뒤 자살한 그들, 유서에 공통점 있었다

본문

bt7f66fecd6febc687c12d59fe1b63a99b.jpg

서울 마포대교에 설치된 '한번만 더, 동상' 모습. 뉴스1

자녀·부모 등 가족을 살해하고 자살한 사망자는 금전 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생명존중재단과 KAIST는 지난달 29일 '살해 후 자살, 사회적 책임과 예방의 길'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어 '살해 후 자살'의 유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KAIST의 뇌인지과학자 정재승 교수, 한국생명존중재단 권세원 부장이 연구 결과를 각각 발표했다.

살해 후 자살은 가해자가 특정한 이유로 타인을 살해한 후 자신의 목숨을 끊는 걸 말한다. 두 명 이상이 함께 자살하는 것과 다르다.

지난 3월 경기도 수원에서 발생한 일가족 사망 사건이 대표적이다. 투자 실패로 인한 자금난 등의 경제난을 겪던 50대 남성이 숨진 채 먼저 발견됐고, 집에서 배우자와 두 자녀도 숨진 채 발견됐다. 2023년 12월 전북 익산에선 40대 가장이 아내와 두 자녀를 살해한 뒤 자살하려 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남성은 사업 부진, 과다한 대출·채무 등의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연구 결과 2013~2020년 자살 사망자는 10만 2538명이다. 이 중 살해 후 자살 사망자는 416명이다. 미혼이 9.9%인 반면 그 외 일반 자살은 26.8%로 높다. 자녀 살해는 30대(37.1%),40대(35%)가 많고, 부모 살해는 50대(40%), 40대(34.3%)가 많았다.

연구팀은 살해 후 자살 사망자 209명, 일반 자살 사망자 418명의 유서를 비교 분석했다.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에는 '돈'이라는 단어가 더 자주 등장했다. 일반 자살은 사랑이나 사과와 관련한 단어가 유의하게 자주 나타났다.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는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경우 "죄송하다"이었다. 일반 자살 사망자는 "미안하다" "사랑하다" "부탁하다" "살다" 등이었다.

자주 등장하는 문장으로는 살해 후 자살의 경우 "돈이 있다" "돈이 없다" "빚 갚다"였다. 어떤 유서에서는 "그 많은 돈이 다 어디로 갔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라고 적혀 있었다. 다른 유서에는 "그놈의 돈 돈 돈 때문에 불행도 수없이 있었으나"라고 했다.

유서에 드러난 감정의 양상이 두 집단 간에 다소 차이가 난다. 살해 후 자살자는 화남·분노, 비장함, 의심·불신, 공포·무서움, 증오·혐오 등의 부정적 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 자살자는 환영·호의, 고마움, 아껴주는, 즐거움·신남, 깨달음 등의 긍정적 감정이 더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김은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센터장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은 행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기에 처한 사람을 찾아내는 방식이며, 한계가 있다"면서 "이장·통장,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 주민자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의 인적 안전망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사회보장 서비스 신청이나 정보 상담을 할 때 온라인이나 전화로 가능하게 해서 접근성을 높이고, 복지 멤버십과 같이 가입자의 소득·재산·연령 등을 분석하여 사회보장 급여 수급 가능성을 매월 안내하는 제도를 활성화하자"고 제안했다.

강미정 세이브더칠드런 아동권리정책팀장은 자녀 살해 후 자살 미수 사건의 1심 판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148명의 아동이 피해자이고 66명이 숨졌다. 74%가 9세 이하 아동이다.

살해 후 자살 시도자 중 19명은 아동 학대, 가정 폭력, 자살 시도 등의 전력이 있었다. 사건 전에 공적기관이 개입했지만 막지 못했다. 피해 아동의 10.9%는 장애가 있다. 44%는 한 부모, 미혼모, 장애 아동, 다문화 등의 취약 가정이었다.

사건 발생 원인은 가정 갈등, 경제적 문제, 정신적 문제 등이며 두세 개가 복합적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팀장은 "자녀 살해 후 자살의 공식적인 통계가 없고, 구조 신호를 놓치고 있다"며 "사회안전망에 공백이 적지 않고 가족 단위의 심리적 위기 개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강 팀장은 "심리 부검이나 자살사건 분석 연구가 거의 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아동·청소년 사망 사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아동사망검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9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