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세청·금감원·공정위 줄줄이 로펌행…연봉 최대 9배 잭팟

본문

bt8fafd10e3ab93044726d463ab4f6baeb.jpg

국세청 로고. 연합뉴스

공직사회에서 대형 로펌으로의 이직이 급증하면서 ‘로펌행 잭팟’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국세청,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퇴직자들이 로펌으로 옮기며 연봉이 수배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은석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감독원에서 김앤장·태평양·광장·세종·율촌·화우 등 6대 로펌으로 이직한 143명의 평균 연봉은 3억2967만원으로, 금감원 근무 당시 마지막 연봉(1억6457만원)의 두 배에 달했다.

이직자 수는 코로나19 이후 급증했다. 2018년 8명, 2019년 2명에 불과하던 금감원 출신 로펌 이직자는 2020년 15명, 2023년에는 26명으로 늘었으며, 올해도 7월까지 이미 19명이 대형 로펌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금감원의 낮은 연봉 인상률(0~2%)과 ‘갑질 기관’이라는 내부 인식, 반면 꾸준히 이어지는 로펌의 인맥 수요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금감원 내 변호사들이 5년가량 근무한 뒤 로펌으로 이직하는 사례도 적지 않으며, 내부에서는 “로펌 진출을 위한 경력 쌓기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자조 섞인 말도 나오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상황이 비슷하다. 지난 10년간 공정위에서 6대 로펌으로 옮긴 54명의 평균 연봉은 8757만원에서 2억9864만원으로 3.4배 상승했다. 이 가운데 44명(81%)은 2020년 이후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변호사 자격을 지닌 10년차 경력자들이 대거 영입됐다.

국세청 출신의 경우 연봉 상승폭은 더 컸다. 국세청에서 김앤장으로 이직한 11명의 평균 연봉은 8981만원에서 8억3392만원으로 9.3배나 올랐다.

최은석 의원은 “공직자의 전문성을 존중하되 퇴직 후 이해충돌과 전관예우 관행을 최소화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공직자들의 ‘로펌행 잭팟’이 잇따르는 가운데, 유능한 관료들이 공공의 책임보다 민간의 유혹을 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7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