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원화값 1430원 급락하자 외환당국 1년 반 만에 구두개입

본문

미·중 무역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원화 값이 급락하자 외환당국이 시장 안정 조치에 들어갔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13일 "외환당국은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의 쏠림 가능성 등에 경계감을 가지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히며 구두개입에 나섰다.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선 것은 지난해 4월 중동 지역 정세 불안으로 원화 값이 급락했을 때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구두개입은 당국이 실제로 달러를 사고파는 대신 개입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힘으로써 원화 값의 과도한 하락을 억제하는 정책 수단이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가치는 전 거래일보다 4.8원 하락한(환율은 상승) 1425.8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달러 대비 원화가치는 장 초반 1434원까지 하락하다 외환당국의 구두개입 소식이 전해지자 1420원 대로 회복됐다.

최근 원화값 급락은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다시 고조된 데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이 최근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 중국산 제품에 대해 다음 달 1일부터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맞대응에 나섰다. 여기에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 협상까지 겹치면서 원화는 다른 주요국 통화보다 한층 두드러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원화가치가 달러당 1400원대에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구두개입은 속도 조절 정도의 효과"라며 "미중 무역갈등이라는 예상치 못한 악재가 발생하면서 원화가치는 단기적으로 1420~1430원대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경과가 1차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8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