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노벨경제학상에 '혁신 주도 성장' 조엘 모키어·필리프 아기옹·피…

본문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혁신 주도 성장’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조엘 모키어(79)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필리프 아기옹(69) 런던정경대 교수, 피터 하윗 (79) 브라운대 교수 등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bt9fc9a9f5071f74975f584eaf148d090d.jpg

13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왕립과학원에서 존 하슬러 교수(왼쪽부터), 한스 엘레그렌 사무차장, 커스틴 엔플로 교수가 조엘 모키어, 필리프 아기옹, 피터 하윗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3일(현지시간) “혁신이 어떻게 더 큰 발전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지 설명했다”며 세 사람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지난 2세기 동안 세계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이를 통해 수많은 사람이 빈곤에서 벗어나 번영의 토대를 마련했다”며 “그들의 연구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해야 함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모키어 교수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현재 미 노스웨스턴대 교수를 맡고 있다. 노벨위원회는 모키어 교수에 대해 “기술 진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전제 조건을 파악한 공로를 인정했다”고 밝혔다. 아기옹 교수는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현재 콜레주 드 프랑스와 인시아드(INSEAD) 교수이자 런던정경대(LSE)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하윗 교수는 캐나다 출신으로 현재 미 브라운대 교수이다. 아기옹ㆍ하윗 교수에 대해선 “창조적 파괴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이론’에 대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노벨위원회는 “모키어는 혁신이 자가 발전적으로 이어지려면 단지 ‘작동한다’는 경험적 지식만이 아니라, 왜 그것이 작동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 함께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아기옹과 하윗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했으며, 특히 1992년 논문에서 ‘창조적 파괴’라는 개념을 수학적 모형으로 정립했다. 더 나은 신제품이 등장할 때 기존 제품을 판매하던 기업이 시장에서 밀려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6억원)는 공로에 따라 모키어 교수가 절반, 아기옹·하윗 교수가 각각 4분의1씩을 받게 된다.

노벨 경제학상 선정위원회 의장 존 하슬러는 “세 수상자의 연구는 경제성장이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며 “우리가 창조적 파괴를 떠받치는 메커니즘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경제는 다시 침체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5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