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 압박 ‘풀베팅’ 이후…“미중 정상 APEC 회담 가능성 높다”

본문

bt3e608ce9f5132ab503fbfa242b9c08ba.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미중 양국이 강대강 압박 조치를 주고받은 뒤 자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중국 내에서는 조만간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4일 보도했다.

SCMP는 중국 당국이 전례 없는 강경 대응으로 미국의 공세가 다소 누그러진 상황을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회담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추세라면 이달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미중 정상이 별도 회담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상하이 푸단대 미국연구센터의 우신보 주임은 “미중 무역협상의 다음 라운드가 원활히 진행된다면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우 주임은 “최근 중국의 대미 압박 기조 속에서 베이징이 가진 카드가 미국에 실질적 타격을 줄 수 있음을 인식한 트럼프 행정부가 보다 실용적 접근을 취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중국의 강공 대응은 향후 미중 무역협상과 양국 관계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t7e6358db07be72dbd5d2605b6a6ec506.jpg

중국 네이멍구 희토류 채취 현장. 홍콩 명보 캡처

왕이웨이 인민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최근 미중 간 최고조의 긴장이 경주 APEC을 계기로 정상회담 개최의 길을 열어줄 수 있다”며 “대결을 통해 타협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인민대 교수 스인훙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굴복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다음 달 10일 제2차 관세 휴전 만료를 앞두고 양국은 그간 한 치 양보 없는 협상을 이어왔다.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 타협 등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치명적인 맞대응을 주고받는 국면으로 돌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간) 기존 관세에 100%를 추가하는 초고율 관세와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며 중국을 압박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미국 농민을 겨냥해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두었고, 지난 9일에는 희토류 합금 수출 통제 강화 방침을 발표했다.

중국의 희토류 공세에 트럼프 대통령이 격앙했지만, 중국이 세계 희토류 생산과 가공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대응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중국은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자동차 반도체 설계회사 ‘오토톡스’(Autotalks) 인수에 제동을 걸고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착수했다. 또 이날부터 미국 관련 선박에 대해 순톤당 400위안(약 8만원)의 ‘특별 항만 서비스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내달 8일부터 고급 리튬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수출 통제도 시행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중국의 공세 강화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압박 강도는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SCMP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100% 추가 관세와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를 경고한 지 이틀 뒤인 지난 12일(현지시간) “우리는 중국과 잘 지낼 것이며 시 주석과 훌륭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부드러운 어조로 발언했다고 전했다.

btd9d2e62862b04ce309ec4600c1fbbe50.jpg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EPA=연합뉴스

싱가포르 ISEAS-유소프 이샥 연구소의 스티븐 올슨 객원 선임 연구원은 “베이징은 첨단반도체, 워싱턴은 희토류 수출 통제 완화를 각각 원하고 있다”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으로부터 대두 구매 약속을 받아내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경주 APEC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무산되면 세계 시장에 쓰나미급 충격이 불가피하다”며 “하지만 회담이 성사돼 긍정적 결과로 이어진다면 미중 관계가 새롭게 재정립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슨 연구원은 “현재 미중이 위험한 게임을 이어가며 상호 위협과 대응 조치를 쌓아가는 만큼, 갈수록 물러서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며 “무역협상이 실패할 경우 관세 휴전을 또다시 연장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개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시진핑 주석과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대중국 100% 추가 관세는 11월 1일 이전에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시점까지의 대화 진전 여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혀 미중 간 접촉 재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9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