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년8개월만에 月판매 1000대 넘겼다...수소차 넥쏘의 조용한 약진 왜
-
7회 연결
본문

현대차 디 올 뉴 넥쏘. 사진 현대차
국내 유일의 수소전기승용차인 현대차 넥쏘가 월 1000대 이상 판매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내연기관차나 전기차보다 판매 규모는 작지만, 인프라 한계를 고려하면 ‘조용한 약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현대차에 따르면 ‘디 올 뉴 넥쏘’는 지난 6월 출시 이후 9월까지 4개월간 총 3493대가 판매됐다. 7월 1001대, 8월 1203대, 9월 1289대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넥쏘가 월 1000대 이상 팔린 것은 2022년 11월(1096대)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구형 넥쏘의 출시 첫해(2018년) 연간 판매량 727대도 넘어섰다.
크게 개선된 상품성이 판매량 호조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넥쏘는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가 720㎞로, 구형(609㎞) 대비 18.2% 늘었다. 모터 출력은 150㎾로 향상돼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시간(제로백)은 9.54초에서 7.8초로 단축됐다. 투싼과 싼타페를 섞은 듯한 모호한 디자인의 구형과 달리 현대차의 첫 모델 ‘포니’를 모티브로 한 독창적 외관으로 완성도도 높아졌다.
수소전기차 보조금도 주효했다. 넥쏘 기본트림(익스클루시브) 가격은 7643만원(옵션 미포함)인데 서울 기준 보조금 2950만원(국가 2250만원 + 지자체 700만원)을 적용하면 4703만원에 살 수 있다. 경북 포항, 전남 여수 등 보조금(3750만원)이 가장 많은 지역에서는 3893만원까지 실구매가가 떨어진다.
체급이 비슷한 투싼 하이브리드(3270만원), 싼타페 하이브리드(3964만원) 사이 가격대라 패밀리카 수요도 적지 않다. 보조금을 적용한 실구매가가 4293만원(서울 기준)인 기아 EV5에도 가격경쟁력이 밀리지 않는다.

현대차 디 올 뉴 넥쏘의 인테리어(프레스티지 풀옵션). 사진 현대차
넥쏘는 울산공장에서 연간 1만5000대가량 생산된다. 월평균 1250대 수준인데, 올해 생산물량은 이미 계약이 완료된 상태다. 지금 계약하면 내년 상반기에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 현재 일부 지자체는 수소차 보조금이 소진돼 지금 계약해도 인도 시점은 내년 2월 이후로 밀릴 수 있다.
다만 충전소 부족은 여전히 걸림돌이다. 14일 기준 전국 수소충전소는 231개에 불과해 전기차 충전기(약 43만기)에 한참 못 미친다. 서울의 경우 누적 등록된 수소전기차가 3376대인데 충전소는 9곳뿐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넥쏘는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대비 정숙성, 주행성능 등에서 큰 만족감을 주는 차량”이라며 “다만 수소충전소 문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서울 같은 충전소 부족 지역에서는 24시간 이용 가능한 충전소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