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왕의 귀환…삼성전자, 3분기 메모리 시장 1위 탈환
-
9회 연결
본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삼성전자 제공
올해 3분기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제치고 ‘글로벌 메모리 시장 1위’ 자리를 되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독주하던 SK하이닉스에 1위를 내준 지 1개 분기 만에 다시 왕좌를 탈환한 셈이다.
1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194억달러(약 27조6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SK하이닉스는 175억달러(약 24조9600억원)를 올렸다.
전 분기 대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은 각각 25%, 13% 증가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는 범용 D램과 낸드 수요 강세로 1위를 회복했으며, 올해 부진했던 HBM도 내년부터 HBM3E(5세대)와 HBM4(6세대)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4분기에도 삼성이 메모리 시장 1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만 D램 부문에서는 아직 1위를 완전히 되찾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SK하이닉스에 33년 만에 ‘글로벌 D램 1위’ 자리를 내줬고, 그 추세가 2분기까지 이어졌다.
2분기에는 낸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도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제공
최정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책임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상반기 HBM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품질 개선을 위한 강도 높은 노력이 효과를 내며 이번 분기 반등에 성공했다”며 “비록 D램 시장은 근소한 차이로 1위를 되찾지 못했지만 내년 HBM3E와 HBM4 확판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HBM3E 공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빠르면 4분기 D램 시장에서도 1위를 탈환해 완전한 메모리 반도체 1위 자리를 굳힐 것으로 전망된다.
HBM 점유율 확대도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HBM3E 12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HBM 출하량 증가가 기대된다.
또 엔비디아와의 HBM3E 공급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으며,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절차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사업의 회복세에 따라 삼성전자의 실적도 크게 반등했다.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6조원, 12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영업이익을 5조원 후반대로 추산하고 있으며, 특히 D램에서만 6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