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외교부 "캄보디아서 안전 확인 안되는 한국인 80여명"

본문

btf2bcb31eaea843a1a8bf80d3d3f606eb.jpg

캄보디아 프놈펜의 범죄단지에서 체포된 중국인들. 사진 캄보디아 공보부 홈페이지

캄보디아에 입국한 후로 신변 확인이 되지 않는 한국인이 80여명 선으로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외교부 측에 연락 두절 또는 감금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한국인 숫자는 올해 1∼8월 330명, 지난해 220명이다.

이 가운데 올해 인원 260여 명, 지난해 210명은 신원이 파악 돼 '종결' 처리됐다. 외교부는 신고 후 현지 경찰에 체포 되거나 구조 후 추방 혹은 자력 탈출, 귀국, 연락 재개 등 어떤 사유로든 감금 상태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되면 '종결' 처리한다.

bt983a32e5106ff4d58222a7729c2387ce.jpg

지난11일 캄보디아 AKP통신에 따르면 전날 캄보디아 깜폿지방검찰청이 살인과 사기 혐의로 A씨 등 30에서 40대 중국인 3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8월 깜폿주 보꼬산 인근에서 20대 한국인 대학생 B씨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뉴스1.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올해 8월 기준으로 80여 명의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상태"라고 했다. 다만 해당 수치는 외교부에 신고 접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 일부 중복이 있을 수 있어 교차 검증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편 경찰은 지난해부터 접수된 캄보디아 실종·감금 신고가 143건이며, 이 중 52건이 미제 사건이라 밝힌 바 있다.

캄보디아 경찰 단속으로 현지에서 검거된 한국인도 수십 명에 이른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7월과 9월 캄보디아 당국의 단속에 따라 한국인 90명이 온라인 스캠 당사자로 체포됐다. 이들 중 60여명은 여전히 캄보디아에 남아있다.

2023년 말부터 미얀마·라오스·태국 접경지대인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한국인 대상 취업 사기가 빈발했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캄보디아로 근거지를 옮겨가는 추세다.

외교부는 지난해 초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을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했다.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인 감금 피해 신고는 2022년 1명, 2023년 17명으로 소수였으나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 여행이 금지된 지난해 220명으로 급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3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