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LG전자 인도법인 상장 첫날, 본사 시총 뛰어넘었다
-
14회 연결
본문
LG전자 IPO 흥행 성공

조주완 LG전자 사장(왼쪽 둘째)과 아쉬쉬 차우한 NSE CEO(왼쪽 셋째)가 14일 인도 국립증권거래소에서 타종 행사를 진행했다. [로이터=연합뉴스]
LG전자 인도법인이 인도 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했다. 이번 상장으로 LG전자는 1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LG전자는 1위 인구대국 인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국민 브랜드’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LG전자는 14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에서 상장 기념식 및 미래비전 발표 행사를 열었다. 조주완 LG전자 사장(CEO)은 “이번 상장으로 인도는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의 신흥시장) 전략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거점 국가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 성장을 동시에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업공개(IPO)는 인도 내 현지 투자자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지난 7~9일 진행된 IPO 청약에서 총 4조4300억 루피(약 70조8600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청약 경쟁률은 공모주식수의 54배로 인도 IPO 역사상 두 번째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밴드 최상단인 주당 1140루피(1만8000원)로 책정돼, 기업가치가 12조원 이상으로 평가받았다. 상장 첫날 LG전자 인도법인 주가는 공모가 대비 50% 이상 급등했고, 시총(약 17조원)이 모 회사 LG전자의 시총(13조 5196억원)을 넘어섰다.
LG전자는 인도 자본시장에서 1조8000억원 규모 현금을 국내로 조달한다. 금융비용, 차입금비율 등 영향 없이 대규모 현금이 유입돼 재무건전성이 큰 폭으로 올라가게 된다. LG전자는 조달 자금을 미래성장 투자에 폭넓게 활용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에 나설 계획이다.
글로벌 가전 업계는 최근 침체기를 겪고 있다. 전날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LG전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8.4% 감소했다. 2분기에는 46.6% 하락한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주요 시장의 수요는 침체하는데, 경쟁은 심화하고 관세 부담은 커지는 등 악재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는 가전 업계에서 매력적인 시장으로 급부상하는 곳이다. 경제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아직 가전 보급률은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인도의 연평균수입 6000달러~3만 6000달러 구간의 중소득 가구 비중은 지난 2020년 29%에서 오는 2030년 46%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LG전자는 성장하는 인도 시장에서 현지화를 통해 ‘인도 국민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조 CEO는 이날 행사에서 ‘인도를 위해(Make for India), 인도에서(Make in India), 인도를 세계로 만든다(Make India Global)’는 비전을 발표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