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재용의 결단…‘성과 연동 주식 보상’ 통해 직원·주주 챙긴다

본문

bt70b49a92f0898f1ebfc261005390777f.jpg

삼성전자가 ‘성과 연동 주식 보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목표로 정한 성과를 달성하면 직원들에게 3년 뒤 자사주를 더 지급하는 식의 성과 조건부 보상이다. 기업 가치를 올려 직원 보상과 주주 가치를 함께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재용(사진) 회장의 성과 중심 경영철학이 구체화됐다는 평가다.

14일 삼성전자는 사내 공지를 통해 ‘성과 연동 주식 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간 삼성전자는 실적에 따라 연봉의 최대 50%인 ‘초과이익성과급(OPI)’과 기본급 최대 100%인 ‘목표달성장려금(TAI)’을 현금으로 지급해 왔는데, 여기에 회사가 보유한 주식(자사주)을 지급하는 PSU가 추가된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회장의 지시에 따라 오랜 기간 PSU를 연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1년간의 단기 성과를 보상하는 OPI와 달리 PSU는 회사의 미래 성과와 연동해 주식으로 보상하는 선진형 보상 방식”이라고 밝혔다. 재계 관계자는 “회사의 성과가 직원에게 더 큰 보상으로 돌아가는 성과급 제도를 통해 임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반도체 훈풍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조 ‘어닝 서프라이즈’

PSU는 지급 약정 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최종 지급 주식 수가 결정된다. 예컨대 기준주가 9만원일 때 ‘200주 지급 및 3년 뒤 주가 2배 상승 시 지급 주식 수 2배’로 약정했다면, 현재 받은 보상의 가치는 1800만원이지만 3년 뒤 주가가 18만원으로 오르면 총 400주, 7200만원어치를 받는 식이다.

삼성전자는 이달 중 사원~부장까지 직급에 따라 자사주 200~300주 지급 약정을 하고, 3년 뒤 주가 상승 폭에 따른 지급배수를 적용해 최종 지급 주식 수량을 확정한다. 2028년부터 3년간 나눠 지급한다. 지급배수는 15일 기준주가의 3년 뒤 상승률에 따라 ▶20% 미만 시 0배 ▶20~40% 0.5배 ▶40~60% 1배 ▶60~80% 1.3배 ▶80~100% 1.7배 ▶100% 이상 2배가 적용된다. 양희동(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한국경영학회장은 “한국에서는 직원들이 주식보다 현금 보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기업은 핵심 인재를 붙잡고 기술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직원과 주주의 이해를 일치할 수 있는 주식 연계형 보상 체계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7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