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성환 “석탄발전 공기업 통합, 재생에너지공사 신설 검토”

본문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14일 ‘탈석탄’ 추진 과정에서 석탄발전을 하는 5개 발전공기업을 통합하고, 재생에너지공사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기후부 출범 이후 열린 첫 국정감사에서 김성환 장관은 발전공기업 통합에 대한 질의에 “그 문제에 대한 의견 수렴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석탄발전소 위주로 근무하고 있는 발전 자회사 직원들의 정의로운 전환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장관은 “발전공기업 통합은 구조조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며 “큰 방향으로는 석탄발전을 축소하면서 재생에너지공사를 따로 만들어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공사를 신설하면서 석탄발전소에 근무하는 인력을 옮기는 방안을 제시한 셈이다. 다만 “통합하면서 이전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고, 발전공기업별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도 있을 텐데 경우의 수를 검토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택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정부는 2040년까지 모든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남동발전·동서발전·남부발전·서부발전·중부발전 등 5개 발전공기업의 통폐합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2001년 전력산업 구조 개편에 따라 한국전력에서 분리된 이들 5개 공기업은 주로 석탄·LNG(액화천연가스) 등 화력발전에 주력해 왔다.

이날 국감에서 김 장관은 ‘탈원전 주의자가 맞느냐’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탈탄소 주의자”라면서도 “원전이 위험하다는 것은 객관적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금은 탄소를 저감하는 것이 급하다”며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가되 원전을 ‘보조 전원’으로 조화롭게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7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