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찰, ‘한전 입찰 담합’ 효성중공업·LS·HD현대일렉트릭 등 6개사 압수수색
-
11회 연결
본문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연합뉴스
한국전력공사(한전)가 발주한 전력 설비 입찰 과정에서 담합을 벌여 낙찰가를 높인 혐의를 받는 대형 제조업체들에 대해 검찰이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부장검사 나희석)는 15일 오전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HD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 등 전력기기 제조업체 6곳과 관련 조합 사무실, 그리고 사건 관계자들의 자택 등을 대상으로 동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이들 업체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한전이 발주한 가스절연개폐장치(GIS) 구매 사업 약 5600억원 규모의 입찰 과정에서 물량을 사전 배분하고 순차적으로 낙찰을 조율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수사당국은 “이 같은 담합으로 인해 낙찰가가 인위적으로 높아져 한전의 구매비용이 증가했고, 그 부담이 전기요금 인상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GIS는 발전소와 변전소에 설치되는 핵심 전력설비로, 과전류가 발생할 때 이를 신속히 차단해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장치다. 한전의 설비 입찰에서 GIS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핵심 요소로 꼽히는 고가 장비로, 시장 경쟁 제한이 소비자 부담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번 검찰 수사는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의 고발을 토대로 본격화됐다. 공정위는 당시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 등 10개 사업자에 총 39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이 중 6개사를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업체 간 입찰 정보 교환, 낙찰 순서 조율 등 담합 정황이 담긴 내부 문서와 전자메일 기록 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력설비 시장이 제한된 대형 수요처에 의존하다 보니 담합 유혹이 크다”며 “공정 경쟁 환경 조성과 입찰 구조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관계자 소환 조사를 거쳐 담합의 구체적 역할 분담과 지시 체계를 규명할 방침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