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동영 “트럼프 결심하면 APEC 계기 북미회담 성사 가능성 크다”
-
11회 연결
본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통일부에 대한 2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31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전망했다.
정 장관은 15일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이 결심한다면 APEC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며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장소는 판문점 북측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북측으로 초청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는 취지다.
그는 백악관의 ‘조건 없는 대화’ 의사 표명, 트럼프 대통령의 연내 회담 의지,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의제 배제 발언, 이후의 대미 메시지 관리 등을 근거로 최근 포착된 외교적 움직임이 북미 회담 재개의 징후라고 분석했다.
정 장관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한미연합연습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점을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그 문제를 논의하자며 어떤 제안을 하느냐에 따라 회담 성사 여부가 갈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김정은은 지난 9월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대미·대남 메시지에 40%를 할애했다”며 “최근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해 푸틴, 시진핑과의 연대를 다진 것도 회담을 위한 ‘우군 정비’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을 두고 “한반도 정세를 실질적으로 바꿀 의지와 능력을 갖춘 유일한 미 대통령”이라며 “김정은 위원장도 트럼프 시기를 놓치면 기회를 잃는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판문점 회담 형식과 관련해 그는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이 동행했을 때의 모양새가 썩 좋지 않았다”며 “이번에 북측에서 회담이 열린다면 한국 대통령은 동행하지 않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이 남측을 직접 상대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통미봉남’(通美封南) 우려에 대해서는 “일시적인 통미봉남은 수용할 수 있다”며 “이재명 정부에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일축했다.
북한의 비핵화 의제 배제에 대해선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에 명시된 8단계 핵활동 중 반입을 제외하고 모두 진행한 현실”이라며 “정부의 입장은 비핵화를 목표로 유지하되, 우선 핵 능력 확장을 멈추게 하는 것이 비핵화의 입구”라고 설명했다.
최근 자신이 “북한은 미국을 타격 가능한 3대 국가 중 하나”라고 언급한 데 대한 논란에 대해서는 “기술 수준이 아니라 ICBM의 ‘거리’와 그 정치적 메시지를 말한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의 완성된 운반수단을 실제로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김정은은 한 달 가까이 대미 메시지를 관리하며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결국 열쇠는 트럼프 손에 있으며, 그가 결심하면 APEC을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