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첨단공정 수요 폭발” TSMC 실적 신기록

본문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TSMC가 강력한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어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TSMC는 16일 오후 3분기 실적발표회를 열고 매출 9899억2000만 대만달러(약 45조8233억원), 순이익 4523억 대만달러(약 20조9369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30.3%, 39.1%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반도체산업 전문가 20명의 평가를 종합한 LSEG 스마트에스티메이트의 전망치(4177억 대만달러)를 훌쩍 웃돌았다.

이날 웨이저자 TSMC 최고경영자(CEO)는 “3분기 매출이 전망치를 뛰어넘은 건 첨단 공정에서 강력한 수요 때문”이라며 “AI 모델의 토큰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곧 더 많은 첨단 공정 반도체 수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TSMC 매출의 약 70%는 7나노 이하의 선단(advanced) 공정 기술에서 발생했는데, 특히 3나노 공정이 전체 매출 중 23%를 차지했다.

TSMC는 AI 칩 수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4분기 매출 전망치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9867억~1조235억 대만달러를 제시했다. 웨이저자 CEO는 “기업용 AI가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소버린 AI’를 구축하려는 움직임도 확산 중”이라며 “주요 고객사들이 향후 몇 년간 AI 서버 및 칩 수요를 매우 공격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TSMC는 연내에 2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양산을 개시해 성장 모멘텀을 지속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웨이저자 CEO는 “올해 4분기에 2나노 공정 양산을 개시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스마트폰과 AI 분야에서 (2나노 공정을 활용한) 대량 생산을 확대할 것”이라라고 밝혔다. 인텔이 가장 먼저 2나노급의 18A(옹스트롬) 공정 양산을 시작했지만, 업계에서는 TSMC의 2나노 수율(양품 비율)과 기술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평가한다. 고가의 2나노 공정의 양산이 본격화하면 TSMC의 수익성은 더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 파운드리 역시 AI 붐에 올라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독점적인 노광 장비 기술로, 반도체 업계의 ‘수퍼을’로 불리는 ASML은 전날 실적발표에서 “TSMC와 삼성전자 등으로부터 예상 치를 뛰어넘는 주문이 들어왔다”고 밝혔다. 장비업체 수주 실적은 반도체 업황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 성격이 짙다. 삼성전자는 최근 테슬라·애플 등 2나노 공정 고객사를 확보한 데 이어, 5~8나노 제품 수주도 늘려가는 추세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3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