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체율 가장 높은 '빈곤 20대'…캄보디아 유혹에 더 흔들렸다

본문

bt88112a5c926832e397271074f17c4849.jpg

20대가 가계대출 연체율이 전 연령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 빚을 못갚아 불법 사금융에 내몰리는 청년이 늘고 있다. 연합뉴스

20대의 은행 대출 연체율이 모든 연령층 중 가장 높았다.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나 불법 사채 등에 얽힌 ‘신용위기 청년’도 늘어나는 추세다.

17일 5개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20대의 가계대출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0.41%를 기록했다.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20대의 가계대출 잔액은 34조5660억원으로 전 연령 중 가장 적었지만, 부실 징후는 짙었다. 지난해 상반기 말에 비하면 20대의 평균 연체율이 0.02%포인트 올랐다.

다른 나이대의 가계대출 대출 규모는 40대(221조1409억원), 30대(195조4933억원), 50대(172조2824억원), 60대 이상(132조1934억원) 순이었다. 연체율은 20대에 이어 50대(0.37%)가 가장 높았고, 40대(0.35%)·60대 이상(0.32%)·30대(0.23%) 순으로 나타났다.

20대 연체는 주로 신용대출에서 일어났다. 5개 은행 중 한 곳에선 지난 7월 기준 20대 이하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0.80%로, 다른 나이대의 연체율(0.37~0.62%)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빚 상환이 밀린 젊은층은 비교적 이자율이 높은 2금융권이나 불법 사채로까지 몰리는 상황이다. 서민금융원이 지난해 6월 발표한 ‘저신용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20∼30대 응답자 10%가 “불법 사금융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2022년 7.5%, 2023년 9.8%에 이어 꾸준히 오름세다.

bt25a9bab03b6533cc91d7a9d5dd14f9ae.jpg

최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납치·감금 사태가 이어지면서 청년층에게 해외 취업 사기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뉴스1

최근 논란이 된 캄보디아 등 해외 취업을 미끼로 한 청년층 납치·감금 사태 뒤엔 청년층 일자리 문제와 경제난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빚을 못 갚는 저신용자나 경제적 기반이 미약한 사회 초년생 중 일부가 ‘고수익 일자리’ ‘해외 IT 업무’ ‘빚 탕감’ 등 문구에 속아 보이스피싱·로맨스스캠 등 불법 행위에 연루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올해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29세 청년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4만6000명 줄었다. 지난해 말 한국은행은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 중 10명 중 3명이 청년층(25∼34세)으로, 1년 새 8만6000명이 늘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자리 절벽이 계속되는데 물가는 높아지면서 청년층이 빚을 지고도 갚지 못해 고금리 불법 사금융으로 몰리는 악순환이 일어난다”며 “이들을 보호할 사회적 안전망과 함께 경제·금융 관련 교육 체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3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