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 싱크탱크, "한국과 조선 협력 필수" 강조
-
8회 연결
본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 전경. 이날 필리조선소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참석한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함’ 명명식이 열렸다. 김현동 기자. 2025.08.27.
미국 보수 성향 싱크탱크가 자국 해군력과 조선산업의 재건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최근 한미 간 관세·무역 협상에 조선 분야가 전략 의제로 부상하는 가운데, 한국 조선업의 위상이 다시 확인된 셈이다.
19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미국 허드슨연구소(Hudson Institute)의 마이클 로버츠 선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미국의 해사 역량 재건(Rebuilding America's Maritime Capacity)’ 보고서에서 “중국의 해양력 팽창이 미국에 실존적 위협이 되고 있다”며 “미국이 이를 대응하기 위해선 한국 등 동맹국과의 조선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로버츠 연구원은 중국이 군사·상업 해양 지배를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며, “중국 조선소는 미국이 군함 1척을 건조할 때 3척을 인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전 세계 신규 선박 발주량 가운데 중국 비중은 75%에 달했으며, 한국과 일본은 합쳐도 20% 수준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의 조선 기술력과 조선소 운영 역량은 미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로버츠 연구원은 “한화그룹의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는 숙련된 미국 인력을 고용하고,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이전하는 동시에 미국 해군 조선 계약 경쟁에 진입할 기반을 만든 전략적 조치”라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이 에너지·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것처럼, 한국은 조선 기술을 통해 미국 해양력 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의회에서 발의된 ‘SHIPS for America Act(미국 선박법)’와도 연계해 그는 “관련 조치들이 일관되게 추진되고, 동맹국 해사 리더들이 적극 참여한다면 미국 조선산업은 다시 전략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미 양국 정부도 조선 협력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방문해 조선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회동 후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에 대해 건설적인 논의가 있었고,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논의에 발맞춰, 한국 조선업계도 미국 내 정비·유지·보수(MRO) 시장 진출과 해군·상업 선박 공동 생산 체계 구축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최근에는 HD현대중공업이 미국 내 조선소 인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정부는 이에 앞서, 지난 8월 무역·관세 협상 과정에서 최대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패키지를 미국 측에 제안했다.
그러나 제도적 장벽도 만만치 않다. 미국 내 일부 법령은 외국 조선소의 미 해군 함정 건조 참여를 제한하고 있으며, 기술 이전 조건과 숙련 인력 부족 등도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지적된다. 더불어 중국은 최근 한화오션의 미국 관련 법인에 대해 제재를 단행하는 등, 한국과 미국 간 협력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