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 협상, 쟁점 실질적 진전…APEC 계기 타결 가능성 커졌다"
-
20회 연결
본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협상할 예정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관세 협상을 진행한 뒤 19일 귀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번 방미 협의에서는 대부분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직후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한미 양국이 매우 진지하고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협상에 임했다"며 "2시간이 훌쩍 넘는 공식 협의 외에 이어진 만찬 자리에서도 밀도 있는 대화를 주고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다"며 "이번 협의 성과를 토대로 협상이 원만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관세 협상 마무리 시점과 관련해선 "이번 방미 전보다는 APEC 계기로 타결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며 "대부분 쟁점에서 상당히 의견 일치를 봤지만 남은 쟁점이 1~2가지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부처와 심도 있게 검토해서 우리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하고 추가적인 협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3500억달러 대미 투자안에 대해선 "개별적으로 논의 중이라 어떤 쟁점이 있고, 어떤 협상이 남아 있는지는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3500억 달러는 합의된 내용이기 때문에 유념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호호혜적인 프로그램이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상당히 의견이 근접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대한민국 외환시장에 미치는 충격에 대해 충분히 미국에서 인지하고 이해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호호혜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협상안이 돼야 한다는 점에 대해 상당 부분 진전이 이뤄졌다"고 했다.
통화스와프 논의 관련 질문에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것도 외환시장에 미치는 충격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나온 얘기"라며 "통화스와프라는 용어나 개별 프로그램까지 언급하는 건 지금 협상이 다 연계돼 있어서 어렵다"고 답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