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 때보다 어렵다…제조기업 75% “올해 영업이익 목표 미달”
-
14회 연결
본문

경기 화성시의 한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 공장에 알루미늄 제품들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국내 제조업체들의 올해 경영 전망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한 경기 속에 원자재 상승과 상법·공정거래법 등 각종 규제 강화가 기업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제조기업 227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75%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목표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20년 팬데믹 초기(74%)보다도 높은 수치다.
목표치 달성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20.4%, 초과 달성이 가능하다고 본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영업이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 비율은 32.1%로, 흑자를 예상한 기업(27%)보다 많았다.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전환한 기업은 7.1%로, 반대로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선 기업(3.1%)의 두 배를 넘었다.

제조기업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 조사. 대한상의 제공
기업들이 꼽은 주요 경영상 애로 요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이었다. 이어 ‘관세 증가’(8.9%), ‘금융비용 부담’(8%)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기업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영 규제에 대한 부담도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다. 기업의 절반 이상(50.5%)은 “규제 부담이 변함없다”고 답했으며, 44.3%는 “부담이 늘었다”고 밝혔다. 부담이 줄었다고 응답한 기업은 5.2%에 그쳤다.
올해 정기국회 입법 논의 중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안은 ‘법인세 인상 등 기업비용 증가’(50.5%)였다. 상법·공정거래법 등 제도 규제 강화(40.6%)와 노사관계 부담 증대(38.6%)에 대한 우려도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기업 실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세제와 규제 완화 등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관세 부담, 내수 침체, 비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를 동시에 감내하고 있다”며 “경영환경이 전방위적으로 악화된 지금이 국회와 정부가 입법을 통해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