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 때보다 더 어렵다…제조업 75% "연초 영업익 목표 미달"

본문

국내 제조 기업들의 올해 경영 실적 전망이 코로나19 때 보다 더 어둡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이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빠르게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bta189db6a8e4749f038330e33b38b6190.jpg

신재민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지난 9월 전국 제조기업 227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5%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설정한 목표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배터리 등 전 제조업종과 중소·중견·대기업 등 모든 규모의 기업을 망라했다.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조사에서는 74% 기업이 목표 미달을 예상했다.

특히 영업이익 적자 예상 기업(32.1%)이 흑자 예상 기업(27.0%)보다 많았다. 지난해 흑자였다가 올해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7.1%였는데, 반대로 적자였다가 흑자를 낼 것이라 전망한 기업은 3.1%에 그쳤다. 대한상의는 “내수 침체와 건설 경기 둔화 등 복합 악조건이 겹친 결과”라며 “수출도 반도체를 제외하면 1~9월 누적 기준 전년 대비 1.5% 감소해 회복세로 보기는 이르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이 꼽은 최대 애로 요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이었다. 이어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구리·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가격이 오르며 생산 원가 부담이 커졌고,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도 꾸준히 늘고 있다”며 “여기에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 인건비 상승 요인까지 겹쳤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영 환경과 지역 경기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0.5%)이 ‘변화 없다’고 답했고, ‘법·제도 부담이 더 커졌다’는 응답은 44.3%, ‘감소했다’는 응답은 5.2%에 그쳤다. 지역 경기 상황 역시 ‘악화됐다’(49.4%)는 응답이 ‘변화 없다’(40.9%)보다 높아, 경기 부진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정기 국회 입법에서 제조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항으로는 ‘법인세 인상 등 기업 비용 증가(50.5%)’가 꼽혔다. 뒤이어 상법·공정거래법 등 기업 제도 규제 강화(40.6%), 노사 관계 부담 증대(38.6%)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은 올해 대외적으로 관세 부담, 대내적으로 내수 침체와 비용 상승 등의 리스크를 동시에 감내하고 있다”며 “경영환경이 전방위적으로 악화된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국회가 입법을 통해 기업에 힘을 실어줘야 할 때”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7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