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 절반 이상 “통일 불필요”…‘통일 필요’ 응답 첫 역전

본문

bt330c0f08e272c92f8ab49e317d0b1729.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행사 참가자들을 축하 격려하고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을 함께 관람했다고 조선중앙TV가 1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TV=연합뉴스

한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통일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필요성 인식이 부정적으로 바뀐 것은 통일연구원이 조사를 시작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통일연구원이 20일 발표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25’에 따르면, 지난 7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 조사에서 응답자의 51%가 “통일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반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9%로, 지난해보다 3.8%포인트 감소하며 처음으로 과반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통일 불필요’ 응답이 ‘통일 필요’ 응답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bt5175e1109bdf8bbeef565137831b0cbd.jpg

'KINU 통일의식조사' 통일 필요성 인식 추이. 통일연구원 제공

연구원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확산, 남북관계 단절의 장기화, 국내 정치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통일 인식이 일시적 변화가 아닌 구조적 변동 국면에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특히 모든 세대에서 통일 필요성 인식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신 “남북이 전쟁 없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면 통일은 필요 없다”는 의견에 동의한 응답자는 63.2%로, 관련 문항이 포함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통일보다 지금처럼 분단 상태로 지내는 것이 낫다”는 응답도 47%로, 2022년 35.2%에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현재의 분단 상태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은 25.3%에 그쳤다.

bt31e85933aeac6b9fd2b6482b58280963.jpg

KINU 통일의식조사' 평화적 공존 선호도 추이. 통일연구원 제공

연구원은 “북한의 위협이 일상화됐지만 즉각적인 군사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이 상태도 견딜 만하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한편 “북한에 관심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68.1%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로 진행됐으며, 통일연구원은 2014년부터 통일 인식, 대북정책, 주변국 인식 등을 추적 조사해 오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