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회장 3주년’ 이재용…‘이건희 위크’ 기리며 메시지 대신 ‘정중동’

본문

btfca2390ab8219b83201514c88f2ddded.jpg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동행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골프 회동을 마치고 돌아온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아버지인 이건희 선대회장의 5주기를 기리는 주간에 들어간다. 공개적인 메시지 대신 차분하게 치를 예정이다. 연말 인사철을 앞두고 ‘실용주의’ 경영에 속도를 낸다.

20일 새벽 미국 출장에서 돌아온 이재용 회장의 주간 일정은 ‘이건희 위크(week)’다. 이 회장은 당장 이날 오후 경기도 용인 삼성전자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이 선대회장의 5주기 추모 음악회에 참석했다. 음악회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 유족과 사장단, 신임 임원 부부, 관계사·협력사 직원 등 900여명이 함께했다.

이 선대회장의 기일 하루 전날인 24일에는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5주기 추도식을 갖는다. 추도식에는 유족과 삼성 사장단이 참석해 고인의 업적과 뜻을 기릴 예정이다. 이 회장은 통상 추도식 후 사장단과 용인 삼성인력개발원으로 이동해 오찬을 함께했다. 27일은 이 회장 본인의 회장 취임 3주년, 11월 1일은 삼성전자 창립기념일이지만 모두 별다른 행사는 없을 예정이다.

이 회장은 앞서 2022년 2주기 사장단 오찬에서 “엄중한 현실과 냉혹한 시장에서 과감하고 도전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오늘의 삼성을 넘어 진정한 초일류 기업, 국민과 세계인이 사랑하는 기업을 꼭 같이 만들자”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

삼성가(家)의 이 선대회장 추모 분위기는 다음 달 8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워싱턴DC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미술관에서 열리는 ‘이건희 컬렉션’ 전시회로 이어진다. 내년 2월 1일까지 열리는 전시회에선 이 선대회장이 기증한 문화재 2만3000여 점 중 21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 개막전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이 회장이 직접 방문할 가능성이 높다.

이 회장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사건과 관련해 지난 7월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장기간 지속된 사법 리스크(위험)에서 벗어났지만, 이후로도 전면에 나서는 대신 정중동(靜中動) 기조를 유지해왔다. 회장 취임 후 줄곧 “실력과 실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 웨이』를 쓴 이경묵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건희 선대회장이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발언이 대표하는 ‘메시지 경영’의 상징이었다면, 이 회장은 신중한 가운데 내실을 다지는 실용주의 리더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승어부(承於父·아버지를 뛰어넘는다)’를 위한 삼성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는 평가다. 이 회장은 7월 이후 미국·유럽·일본을 잇달아 돌며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과 회동했다. 그 결과 오픈AI·AMD와 협력하거나, 최근에는 테슬라 칩을 수주하는 성과도 냈다. 독일의 냉난방 공조 기업 플랙트그룹을 인수하는 등 대형 인수합병(M&A)에도 시동을 걸었다.

내달 정기 인사를 계기로 ‘1등 삼성’으로 전진도 가속할 전망이다. 이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해소한 뒤 첫 인사인 만큼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주도권 회복과 VD(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강화 등을 목표로 인사 폭이 커질 수 있다. 2017년 해체한 그룹 컨트롤타워를 재건하는 등 조직 개편으로까지 이어질 경우 ‘대수술’도 거론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