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창용 "유동성 늘려 부동산 불 지피지 않겠다"...금리 동결 시사

본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부동산 시장에 대해 “9월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다시 과열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며, 10ㆍ15 부동산 대책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다.

이 총재는 “한은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더 늘려서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에 아무리 집을 많이 지어도 유입 인구가 계속 늘어나면 공급이 따라갈 수 없다”며 “입시제도나 이런 교육 문제도 해결돼 서울 인구 유입을 줄여야 부동산 가격을 잡을 수 있다”고 짚었다. “부동산 문제는 한 정책으로 해결하기에는 복잡하다”는 것이다.

bt66fa72e75f9c97e047679a46a4162179.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열린 2025년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2025.10.20/뉴스1

이 총재는 금리 정책 방향과 관련해선 “현재 경기ㆍ환율ㆍ부동산 등 여러 변수가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서 저희가 하나만 보고 (금리를) 결정하긴 어렵다”면서도 “부동산 시장이 금리 인하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10ㆍ15 부동산 대책’의 효과에 대해서는 “부동산 문제는 하나의 정책으로 해결하기는 복잡한 문제가 됐다. 시간이 지난 뒤 효과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오는 23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2.5% 동결할 것을 시사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실시된 주요 전문가 설문조사에서도 대부분은 ‘한은이 집값과 환율 불안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10월부터 금리 인하에 나섰던 한은은 현재까지 네 차례 금리를 낮춰오다, 7월과 8월에는 부동산 불안 등을 이유로 연이어 금리 유지를 결정한 바 있다.

한편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10ㆍ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고가주택 중심의 집값 급등이 퍼지면 주거 사다리가 무너진다”며 “비상 상황이기 때문에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의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