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주캄보디아 대사관 "2년간 납치·감금 신고 중 100건 미해결"
-
16회 연결
본문

2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주캄보디아 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주캄보디아·주베트남·주태국·주라오스대사관 국정감사에서 김현수 주캄보디아 대사 대리가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관이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현지에서 접수한 550건의 납치·감금 신고 중 약 100건이 미해결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야 의원들은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강력 범죄에 대한 대사관의 부실한 대응을 질타했다.
주캄보디아 대사관은 22일 프놈펜 현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아주반 국정감사에서 "2023년 신고는 20명에 못 미쳤으나 지난해 220명, 올해는 8월까지 330명 등 폭증세"라며 "지난 2년간 신고된 550건 중 450건이 해결됐다"고 밝혔다. 100여건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행방이나 안전 여부 등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야당 의원들은 정부의 미흡한 대응을 지적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캄보디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민간단체인 '천마'를 언급하면서 "대사관에 신고해도 아무런 조력을 못 받으니까 민간단체에 의존하게 될 수밖에 없다"며 "대사관에 들어오면 '근무시간 끝났다'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조치를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국민 안전을 내팽개치니까 민간단체가 활동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은 "사망한 대학생 시신이 국내로 들어오는 데 두 달 보름 정도가 걸렸다"며 "(이 기간에)대통령, 총리, 외교부 장관, 외교부 차관 등이 이쪽에 전화 통화라든가 협조를 요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말했다. 탑다운(Top Down)식으로 고위급에서 직접 관여해 보다 빠르게 캄보디아를 움직였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석기 외통위원장도 "이 중요한 사태가 터졌는데도 대사는 계속 공석"이라며 "4급인 대사 대리와 1급인 대사는 만날 수 있는 캄보디아 정부 관계자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주캄보디아 대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7월부터 공석이다.
반면 여당은 현지 대사관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정부의 컨트럴 타워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을 부각했다.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1월부터 매달 30건 이상, 많을 때는 70~80건이 신고됐는데 지금의 직원들로는 대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하고, 정치권은 싸움질하고, 대통령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현수 주캄보디아 대사대리는 "온라인 스캠(사기) 관련 업무로 공관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3교대 근무가 가능하도록 경찰영사 6명, 한국인 행정 직원 4명, 현지 행정 직원 2명 수준으로 증원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현재 캄보디아 주재 대사관에는 경찰영사 3명, 한국인 행정직원 2명 등이 근무 중이라고 한다.
이날 국감에선 현지 교민들의 피해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김 대사대리는 '캄보디아 동포사회에서 스캠에 가담한 사례가 있는지' 홍기원 민주당 의원이 묻자 "없다"고 답했다. 이어 "현지 치안에 대한 국내 언론 보도로 캄보디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확산하고 있어 동포사회에서는 한국으로부터의 투자 축소와 방문객 감소에 따른 경제 활동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