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한·일 때릴 '주먹' 더 키웠다…APEC 앞 단거리 탄도미…
-
15회 연결
본문
북한이 22일 오전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수 발을 동북부 내륙으로 발사했다. 미·중을 비롯, 주요국 정상이 참석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1주일 여 남겨 놓고 존재감을 과시하는 한편 한국과 일본을 겨냥한 타격 능력을 부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성-11다-4.5 개량형 추정…350㎞ 날아 북부 내륙 탄착

북한이 고중량 재래식 탄두를 장착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지난해 9월 19일 밝혔다.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8시 10분경 북한 황해북도 중화 일대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미사일은 약 350㎞ 비행해 동북부 내륙에 탄착했다는 게 군 당국의 분석이다. 황북 중화군은 평양시의 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앞서 북한이 2023년 3월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계열 미사일을 쐈던 곳이다.
군 당국은 고도·궤적 등 비행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미사일이 지난해 9월 18일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발사한 ‘화성-11다-4.5’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당시 북한은 “설계상 4.5t급 초대형 상용(재래식)탄두가 장착된 신형 전술탄도미사일”이라고 밝혔다. 이에 한국의 고위력 탄도미사일 현무 미사일에 맞대응해 4.5t의 고중량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또 북한은 지난해 “중등 사거리 320㎞의 목표 명중 정확도와 초대형 탄두폭발 위력을 확증”했다고도 했다. 이번에는 비행 거리를 늘려 쏜 만큼 성능 개량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화성-11다-4.5는 ‘화성-11다’ 계열에 ‘4.5t’란 탄두 무게 붙인 명칭으로 보인다는 게 당시 군 당국의 평가였다. 북한이 이날 실제 탄두 중량을 더 늘린 미사일을 쏜 것이라면 명칭에도 이를 반영해 공개할 수 있다.
화성-11다 계열 미사일은 KN-23 을 기반으로 만든 고중량 탄도 미사일로, 대남 타격용 성격이 크다. 권용수 국방대 명예교수는 “화성-11다-4.5의 임무는 한국 내 주요 지하 지휘소와 국가 전략 자산에 대한 무력화지만, 최대 사거리는 700㎞ 가량”이라며 “이는 남측 전역 뿐 아니라 일부 주일미군 기지까지 타격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성능 개량을 통해 한·일을 동시에 겨냥한 타격력을 과시했다는 해석이다.
APEC 오는 트럼프 겨냥 계산된 도발했나

2019년 6월 30일 판문점 군사분계선 북측 지역에서 만나 인사한 뒤 남측 지역으로 이동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올해 들어 5번째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론 처음이다. 특히 시점상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점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병철 경남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를 찾기 직전 한반도 정세의 주도권이 북측에 있다는 점을 알려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차원”이라고 짚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 위반인 ‘탄도미사일 도발 카드’를 꺼내 들면서도, 장거리가 아닌 단거리를 쏜 건 수위를 조절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비핵화를 테이블에 올리지 않는 조건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궁극적으론 중국과 러시아의 지지를 업고 사실상 핵 보유국 지위를 굳히려는 시도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APEC에는 트럼프 뿐 아니라 북한의 핵심 우방국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방한하는데, 이를 의식해 정교하게 계산된 도발을 택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강경 보수인 ‘다카이치 내각’이 전날 출범한 걸 의식했을 수도 있다.
극초음속 화성-11마 주장할 수도…대통령실은 안보점검회의

지난해 9월 19일 북한은 고중량 재래식 탄두를 장착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북한 미사일총국은 전날(18일) ″신형전술탄도미사일 '화성포-11다-4.5' 시험발사와 개량형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연합뉴스
군 당국은 미사일의 궤적상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극초음속 활공체(HGV) 탑재 ‘화성-11마’의 시험 비행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데 무게를 뒀다. 다만 북한은 과거에도 기만술로 미사일 성능을 과장했던 전례가 있는 만큼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고 주장할 여지도 있다. 지난해 7월 1일 화성-11다-4.5을 시험 발사했을 때 북한 매체는 “시험 발사를 성공”했다고 주장했지만, 군 당국은 정상 비행에 실패했다고 봤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국가안보실 주도로 긴급안보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군의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평가했다”고밝혔다. 대통령실은 “정부는 북한의 추가적인 미사일 발사 가능성 등 관련 동향을 면밀히 예의주시하면서 필요한 조치들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