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세계에 알릴 한국 AI 역량, SK가 선봉장
-
19회 연결
본문

SK그룹이 인공지능(AI) 역량과 청사진을 전 세계에 알린다. 오는 28일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부대행사 ‘퓨처 테크 포럼: AI’를 통해서다.
APEC CEO 서밋 의장인 최태원(사진) SK그룹 회장은 환영사에서 AI 생태계를 확장한 한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국가 AI 생태계 모델의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행사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사이먼 칸 구글 아시아·태평양 부사장, 안토니 쿡·울리히 호만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 등이 연사·패널로 참여한다.

각 세션에서는 ▶아시아 지역 AI 혁신 전략 ▶오픈소스 AI를 통한 글로벌 생태계 구축 ▶한국형 풀스택 AI 구축 경험 ▶AI 생태계의 균형 성장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된다(표 참조). 또 서밋이 진행되는 경주 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는 ‘K테크 쇼케이스’를 마련해 한국과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미래 기술을 전시한다. SK그룹의 경우 SK하이닉스·SK텔레콤·SK엔무브 등 반도체부터 에너지·서비스까지 AI 역량을 한 자리에 모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행사를 주관한 SK그룹은 AI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왔다. 특히, 최 회장이 지난 1일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와 AI 데이터센터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700조원 규모의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참여하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올해 상반기 D램 시장에서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한 SK하이닉스의 기술력과 공급 역량이 뒷받침됐다. 그룹 안팎에선 이달 중 조기 인사를 통해 ‘AI 중심 리밸런싱(재구조화)’을 가속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은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을 직접 만나 참석을 요청하는 등 AI 외교에 앞장섰다. 지난 10일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런홍빈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회장 등을 만나 협력 기반을 다졌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