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규제 직전’ 매수세 몰렸다…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역대 최고

본문

10ㆍ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된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의 주간 상승률이 역대 최대인 0.5%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등 규제가 적용되기 직전에 주택 매수 ‘막차’ 수요가 늘면서 집값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5% 올랐다. 이는 2012년 5월 해당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주간 상승률이다. 이는 10ㆍ15 대책 발표 전후 상황이 반영된 수치다.

btba514eaa4b447f2515298c7ae649534d.jpg

10월 셋째 주 아파트가격 동향(전주 대비). 자료: 한국부동산원

구체적으로는 대책 발표 전부터 '불장' 조짐을 보였던 이른바 ‘한강벨트’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광진구(1.29%)ㆍ성동구(1.25%)ㆍ강동구(1.12%)가 한 주 사이 1% 넘게 올랐다. 양천구(0.96%)ㆍ송파구(0.93%)ㆍ중구(0.93%)ㆍ마포구(0.92%) 등도 오름폭이 컸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낸 지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1.78%)였다. 과천시(1.48%)·광명시(0.76%)·하남시(0.63%) 등도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정부가 추석 직후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을 추가 지정한다는 추측이 나오면서 추석 연휴 동안에도 거래가 끊이지 않았다. 발표 당일인 15일에는 다음 날부터 규제지역 시행으로 대출규제가 강화된다는 소식에 해당 지역에 막판 수요가 몰려 최고가 경신이 이어지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원은 “전반적으로 정주 여건이 양호한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단지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 및 거래가 증가하며 상승거래가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규제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다음주부터는 상승세가 진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막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 매수와 갭투자 수요, 상경투자 등이 겹쳐 이상 가격이 발생했다”며 "거래 절벽 속에 3~6개월 정도 조정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