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아시아 원격의료학회 출범…서울서 첫 국제 학술대회 개최
-
15회 연결
본문
아시아 각국의 원격의료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아시아 원격의료학회(Asian Telemedicine Society, ATS)’가 공식 출범한다. 초대 회장은 서울대 의대 강대희 교수가 맡는다.

강대희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ATS는 2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도서관 우봉홀에서 창립 기념 학술대회인 ‘ATS 2025 아시아 원격의료학회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대만,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등 아시아 10여 개국의 원격의료 및 디지털헬스 전문가가 참여한다.
학술대회는 아시아 각국의 전략과 관점으로 그리는 원격의료의 미래, 병원 중심 임상 혁신과 기술 적용 사례, 차세대 디지털헬스 생태계와 플랫폼 구축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세션별로 강대희 교수, 마사오미 난가쿠 도쿄대 교수, 응우옌 란 히에우 하노이의대병원장(베트남 국회의원), 테라완 아구스 푸트란토 전 인도네시아 보건장관 등이 참여해 각국 원격의료 정책과 발전 전략을 논의한다. 또한 세계 주요 병원의 임상 혁신 사례와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VRㆍAR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원격의료 플랫폼 구축 방안도 공유된다.

ATS
강대희 초대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원격의료 필요성을 부각시켰지만, 제도적 장벽으로 확산에 한계가 있었다”며 “한국은 임상 중심의 빠른 기술 적용과 실증을 통해 원격의료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제 아시아가 함께 표준을 만들어갈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ATS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다학제적 협력 플랫폼으로, 각국 경험과 데이터를 공유하며 디지털 헬스 협력체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TS는 서울을 중심으로 ‘범아시아 원격의료 협력 네트워크(Pan-Asian Telemedicine Network)’를 구축하고, 정기 학술교류와 공동 연구, 정책 협력, 의료데이터 표준화 등 아시아 디지털헬스 표준화와 글로벌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학회 사무국은 서울대 의대에 설치되며, 향후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과 협력한 순회 학술대회도 추진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