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도약하는 호남] 해상풍력 메카로 뜬 전남, 바람으로 미래 연다

본문

덴마크 오덴세처럼 재도약 구상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돼
기업 유치, 3만개 일자리 창출 계획
‘전남형 에너지 기본소득 모델’ 추진
“도민·기업·미래세대 함께 만들 것”

bte2a7af8f37e61fdea8e9e600d6cf76ac.jpg

전국 해상풍력 잠재량의 3분의 1(125GW)을 차지하는 전라남도는 천혜의 자연조건과 제도적 기반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신안군 자은도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설치된 10㎿급 풍력발전기. [사진 전남도청]

전라남도가 ‘바람의 힘’으로 대한민국 에너지 전환의 중심에 서고 있다. 전국 해상풍력 잠재량의 3분의 1(125GW)을 차지하는 전남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제도적 기반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평균 풍속 7.2m/s, 수심 40m 이내의 얕은 해역, 6500㎞에 달하는 해안선까지 전남은 해상풍력 발전에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자원 우위에 머물지 않는다. 지자체와 기업, 주민이 함께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가며 해상풍력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전남은 덴마크 오덴세의 사례에 주목한다. 조선업 쇠퇴 후 해상풍력으로 도시 재도약에 성공한 오덴세처럼, 조선·기계 산업과 해상풍력을 연계해 에너지 전환 시대에 걸맞은 지역 산업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해상풍력 특별법 실현하는 최전선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해상풍력 사업에서 가장 큰 장애물은 기술이 아니라 인허가 절차였다. 허가를 받고, 주민과 협의하고, 송전망을 연결하기까지 수년이 걸리는 일이 흔했다. 정책은 늘 현장보다 한발 늦은 감이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지난 3월 마련됐다. 국회를 통과한 ‘해상풍력 보급촉진 및 산업육성에 관한 특별법’은 해상풍력 개발의 새로운 틀을 제시했다. 이 법은 개발을 ‘계획’에서 출발하도록 설계해 정부가 예비지구를 지정하고 인허가 절차를 통합·심의하며, 민간과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체계화했다. 다만 시행령과 하위법령 등 구체적 실행체계는 아직 마련 중이다.

전남도는 법 시행 초기부터 지역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 운용에 참여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전력망 특별법과 연계해 전력망 구축을 앞당겨 RE100(재생에너지 100%)을 추진하는 글로벌 기업 유치,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등 첨단 프로젝트에 안정적인 재생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ta041cfadd29d939077ccdcd6a84dd28f.jpg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남 신안 해역을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의 단일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로 지정했다. 총 설비용량 3.2GW, 민자 20조원 규모로, 이는 원전 3기에 맞먹는 규모다.

총 10개 세부 단지로 구성된 신안 사업은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 입지 타당성을 모두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지 안에 공동접속설비가 구축될 예정으로, 송전 효율성과 사업 속도도 개선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이번 단지 지정으로 연간 약 2450억원 규모의 REC(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수익을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도민 에너지 기본소득’의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신안 직접화단지를 단순한 발전소가 아닌 해상풍력 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기자재 산업 및 RE100 수요 기업을 전남 지역에 유치하고, 약 3만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상풍력과 조선업을 연계한 산업 융합 생태계를 조성하고, 전남을 아시아·태평양 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시킬 방침이다.

bt63bbad9ecef5317ebc2e33b7a16a4235.jpg

전남 신안군 자은도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기, 타워와 터빈 본체를 조립하는 모습.

해상풍력·조선업 융합 생태계 조성 방침

전라남도의 해상풍력 정책은 단순한 전기 생산이 아니다. 도민이 직접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전남형 에너지 기본소득’ 모델을 국내 최초로 추진하고 있다.

2035년까지 해상풍력 16GW, 태양광 5.4GW 등 총 23GW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조성해 연간 1조원 규모의 수익을 도민에게 환원한다는 계획이다. 1인당 약 50만원 수준의 기본소득을 목표로 한다.

이미 신안군 등지에서는 ‘햇빛연금’과 ‘바람연금’이 실현되고 있다. 전남도는 도민참여 조례를 전 시군으로 확대하고, 공공기관 출자사업에는 REC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 개선도 추진 중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남형 에너지 기본소득은 단순한 혜택이 아닌, 지역 중심의 에너지 전환과 사회경제 재편을 위한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 산업은 지역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지난해 4월, 세계 최대 해상풍력 터빈 제조사 베스타스(Vestas)는 전라남도와 3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목포신항 인근에 해상풍력 터빈 생산 거점을 세우고, 관련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목포신항과 해남 화원산단을 중심으로 타워·블레이드·전선·설치선 등 주요 기자재 산업의 집적화도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해상풍력에너지연 구소, 유지보수 전문 교육기관, 산학연 기술개발 거점 등 다양한 연계 시설들도 준비하고 있다.

전남도는 행상풍력 산업을 단지 지역경제 활성화의 방편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산업으로 보고 있다.

강상구 전라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해상풍력은 단순한 전기 생산 기술이 아니라 도민과 기업, 미래세대가 함께 만드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라며 “전남은 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준비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1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