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국기업 비자 위해 트럼프와 통화”
-
18회 연결
본문

23일 방한한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는 지난 9월 한국인 근로자 체포·구금사태 이후 “제조업 비자 도입 필요성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경록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업 비자(Manufacturing Visa) 도입 필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 한국과 유럽·캐나다 등 주요 제조 투자국들의 현실을 알고 있고 (비자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23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난 브라이언 켐프(61) 미국 조지아 주지사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로 논의한 자신의 ‘제조업 비자’ 구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 9월 미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317명 체포·구금사태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중앙일보 기자와 단독 인터뷰를 했다.
켐프 주지사는 “미국 내 제조 공장에서 단기간 체류하며 장비 설치·교육을 담당하는 숙련 기술자들이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체류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조업 비자는 기존 IT 중심의 전문직 비자(H-1B 비자)와 달리 90일 이내 단기 체류를 전제로 한다”며 “현대차·한화큐셀 등 첨단 제조업체의 수요를 반영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백악관도 이 사안을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현장 운영에 불편이 없도록 제도적 해결책을 논의 중”이라고 했다. 그는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통화했다고 말했다.
이번 방한은 조지아주 서울 경제개발사무소 개소 4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지난달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공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근로자 체포·구금 사태 이후 신뢰 회복을 위한 행보다. 켐프 주지사는 부인 마티 켐프 여사,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 등 주요 관계자들과 함께 23일부터 사흘간 한국에서 머문다.
그는 체포·구금사태에 대해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조지아 주정부는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고, 연방정부도 절차상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은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연방정부와 한국 정부, 그리고 관련 기업들과 협력해 문제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켐프 주지사는 이날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등과 잇따라 면담했다. 그는 “현대차와는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며 “메타플랜트(현대차 조지아 전기차 공장)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 그리고 현지 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대해 중점 논의했다”고 전했다.
켐프 주지사는 인터뷰 동안 “한국 기업은 조지아 기업”이라는 자신의 철학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본사가 한국에 있어도 조지아에 공장을 세우고 사람을 고용한다면 그건 조지아 기업(Georgia based)이라는 뜻”이라며 “1996년 SKC, 2006년 기아차 공장 이후 이어진 투자가 이제는 세대 간 협력으로 발전했다. 한국과 조지아의 관계는 단순한 비즈니스가 아니라 가족 같은 파트너십”이라고 했다.
2019년 취임 후 이번 방한이 세 번째라는 그는 한국 독자들에게 “조지아는 언제나 친기업적이고, 해결 중심적인(solutions-oriented) 파트너로 남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조지아주는 미국 남동부 중심에 위치해 있다.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과 북미 최대 단일 컨테이너 터미널인 사바나항을 기반으로 미국 전역과 글로벌 시장에 접근하기 용이하다. 조지아주는 1985년부터 서울에 상설 대표부를, 한국은 1976년부터 애틀랜타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