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출 성장 더는 안통한다"…최태원이 내놓은 저성장 해법
-
6회 연결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유튜브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 등 3개 채널 연합 인터뷰에서 저성장 해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SK
“지금은 수출을 잘한다고 해서 성장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대한민국 경제 모델이 수정되어야 합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6일 유튜브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등 3개 채널 연합 인터뷰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과거처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자유무역으로 회복이 어렵다”며 “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젠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이에 최 회장은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AI 투자 ▶해외 인재유입 등의 해법을 제안했다. 우선 일본과의 경제적 연대를 통해 6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면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유럽연합(EU)은 27개국에서 의견을 일치 보려면 몇 년씩 걸리는데, (한국과 일본은) 둘이서 하면 오래 걸릴 일이 없으니 훨씬 효율적인 EU 모델을 만들 수 있다”며 “세계 4위 규모의 (한·일) 경제 블록을 형성해 대외 여건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규제를 재설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내놨다. 최 회장은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정책은 낡은 방식”이라며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산업별로 핵심 공급망을 강화하고,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투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옛날에 러시아(소련)와 미국이 군비 경쟁할 때처럼 미국과 중국 양국은 AI 투자 전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계속된다 하더라도 해야 할 투자는 해야 한다. AI 분야에서 뒤처지는 것은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해외 인재를 적극 유치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지역 단위로 규제를 풀어주는 메가 샌드박스, 제조업 중심에서 벗어난 소프트머니 발굴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기업인으로서 한국 경제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는 이유에 대해 “선친이신 고 최종현 선대회장께서는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말씀을 늘 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주체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하고 사회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관련해선 “향후 몇 년간 미·중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 짐작할 가늠자가 될 자리”라고 소개했다. 최 회장이 의장을 맡고 있는 ‘APEC CEO 서밋’에는 엔비디아 젠슨 황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9일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30일 부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