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방은행 부실채권 1.4조, 올해만 39% 늘었다
-
12회 연결
본문
정부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방 금융자금 공급을 골자로 하는 ‘지방우대 금융’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방은행의 부실대출 문제가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지방은행(경남·광주·부산·전북·제주)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NPL)은 약 1조4252억원에 달했다. 전년 상반기(9456억원) 대비 51%, 지난해 말(1조225억원)과 비교해도 39% 증가한 수치다. 회수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손실로 추정되는 채권 등의 총합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은 수치가 높을수록 잠재적인 부실 위험이 크다고 평가된다. 지방은행 부실채권 규모는 상반기 말 기준 2022년 4578억원에서 이듬해 6005억원 등 꾸준히 증가세다.
전체 총 여신에서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부실채권 비중도 지난해 6월 말 0.65%에서 1년 사이 0.96%로 0.31%포인트 올랐다. 올해 6월 말 국내은행 전체 부실채권 비율인 0.59%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지방 건설 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태 여파 등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금융위는 정책금융의 지방공급 비중을 현재 40%에서 3년 안에 45%로 높여 120조원까지 올리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금융권 대출·투자가 수도권에 쏠려있는 것을 완화하겠단 취지다. 하지만 지방은행에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기업·주택담보대출을 늘리면서 지역 기업의 대출은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금융위 관계자는 “지역 주력산업기업, 중소·벤처 기업, 특화기업 등에 투자하는 전용 펀드도 조성할 예정”이라며 “부실 문제가 악화하지 않도록 금융사 건전성도 함께 살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