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0ㆍ15대책에도 꺾이지 않은 심리…집값 상승 기대 4년 만에 ‘최고’
-
19회 연결
본문
정부의 세 차례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더 커졌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내년에도 주택가격이 오를 거라 보는 심리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 전경.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올해 10월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의 내용이다. 1년 후 집값 전망에 대한 심리를 보여주는 주택가격전망심리지수(CSI)는 9월보다 10포인트 급등한 122를 기록했다. 집값 오름세가 이어지던 2021년 10월(12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증가 폭(10포인트)도 지난 2022년 4월 이후 3년 반 만에 최대다. 당시 윤석열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던 때다.
앞서 서울 집값 오름세가 절정이었던 지난 6월 주택가격전망CSI는 120이었는데, 정부가 6ㆍ27대책을 내놓은 이후 7월에 109로 한 풀 꺾였다. 하지만 지난 8월에 111로 곧바로 반등했다. 정부의 9ㆍ7공급 대책이 나온 9월에는 112로 올라섰고, 이달에는 122로 오름폭을 훌쩍 키웠다. 석 달 연속 상승세로, 장기 평균(107)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이번 소비자심리지수 조사 기간은 지난 14일부터 21일이다. 정부의 10ㆍ15 대책 발표와 맞물렸는데, 이번 대책에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꺾이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한은은 이번 조사 기간 첫날인 14일에 응답률이 75%로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10ㆍ15대책에 대한 소비자 의견이 전적으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정부의 정책 효과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있는 분석이 필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10ㆍ15대책이 예상된 시점까지 포함해 이뤄진 조사인 만큼, 정부의 세 차례 대책이 심리를 크게 바꾸지 못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팀장은 “6월 당시(120)보다 다소 높아진 수준이어서, 소비자들의 주택 가격에 대한 기대심리가 그 이전만큼 올랐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상황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판단을 반영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물러났다. 지난 9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장기 평균(2003년 1월~2024년 12월)보다 낙관적으로, 이보다 낮으면 비관적으로 보고 있음을 의미한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반영해 산출한 지수다. 한은은 한ㆍ미 무역협상이 늦춰지고, 미ㆍ중 무역갈등에 대한 긴장이 커지는 등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