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삼성SDI, 3분기 영업손실 5913억원…“각형 장점 살려 ESS 공략”
-
12회 연결
본문

삼성SDI 본사 기흥사업장 전경. 사진 삼성SDI
삼성SDI는 올 3분기 영업손실 5913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28일 밝혔다.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적자다. 매출은 3조5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5% 감소했다.
주력 사업인 배터리 부문 매출이 2조82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23.2% 줄었다. 해당 부문 영업손실은 6301억원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BMW 등 하이엔드 차량에 주로 배터리를 납품하는데, 올해 유럽 등에서 저가 전기차가 더 인기를 끌면서 배터리 판매가 둔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4분기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을 통해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 이달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내 합작법인 ‘스타플러스 에너지’ 공장 라인을 삼원계(NCA) 기반 ESS 배터리용으로 전환해 양산에 돌입했다. 이어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라인 전환을 준비 중이며, 내년 말까지 미국 내 ESS용 배터리 생산능력을 연간 30기가와트시(GWh)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용휘 삼성SDI ESS Biz팀장은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우리 회사 ESS의 강점인 각형 폼팩터를 기반으로 여러 ESS 고객사들과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2027년까지 캐파(생산능력)의 상당 부분에 대해 물량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ESS의 경우 안전성이 높은 각형 배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삼성SDI는 비중국계 기업 중 현재 유일하게 각형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기업으로서 미국 ESS 시장 내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보급형 전기차 프로젝트 수주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8년 양산을 목표로 전기차용 LFP와 고전압 미드니켈 각형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