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태원 "AI, 곳곳서 병목 현상…한국 특유 '스피드&…

본문

bt7869ca0c7768a53b21d057320385e552.jpg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환영사를 하고 있다. SK 제공

“인공지능(AI)은 세계 질서를 새롭게 짜는 변곡점 역할을 하고 있다. 급속한 발전과 변화는 결국 버틀넥(병목) 현상을 일으키는데 한국이 이 병목을 풀어낼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자신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 환영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행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공식 부대 행사로 SK그룹이 주관했다. 글로벌 AI 산업 리더와 석학, 정부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최신 AI 기술과 산업 트렌드,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진행됐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기조연설을,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이 연사로 나섰다.

최 회장은 “요새 AI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는 것 같다”고 운을 떼며 “AI가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국가 경쟁으로 나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이 AI에 투자하는 금액을 보면 우리(SK)보다 최소 0이 한두개는 더 붙는 수준”이라면서도 기술 경쟁에서 한국의 역할을 자신했다.

최 회장은 “지금도 AI 데이터센터를 많이 지어야 하는데 그 안에 들어가는 칩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면서 “한국이 아주 빠르게 적응하는 스피드를 발휘해 이 병목을 풀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 인터넷이나 모바일 발전 역사에서 이미 증명해낸 일이라며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진화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bt7be0078626ad31d8b523b6bc8fb67537.jpg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이우림 기자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가지 축을 어떻게 조화롭게 가져갈 것인가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우리 혼자서 100% 모든 것을 국산화한다고 말할 수 없다”라며 “우리는 글로벌 플레이어와도 같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사 사례로 AWS와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 모델 등을 언급하며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강단에 선 연사들은 AI 기술 발전은 하나의 기업이나 국가가 혼자 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하정우 수석은 “정부가 가장 필요한 곳에 투자해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면서 “소버린 AI(한국 독자적 AI)가 한국 안에서의 힘으로만 이뤄지는 게 아니다. 기업과 국민,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이 정말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맷 가먼 AWS CEO도 “AWS가 단독으로 혁신을 이끄는 게 아니라 파트너와 함께 생태계를 확장하는 전략을 지속해왔다”고 강조했다.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는 “한국이 AI에 있어서 독보적 강점을 가지고 있는 나라”라고 말했다. 오픈AI는 현재 초거대 AI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진행 중이며 최근 삼성·SK와 D램 웨이퍼 공급 계약을 맺었다. 김 대표는 “한국은 최첨단 인프라와 혁신적 기업, 새로운 기술을 빨리 수용하는 이용자가 있어 AI 혁신의 이상적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