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임금근로자 4명 중 1명은 월수입 400만원 이상
-
18회 연결
본문

쌀쌀한 아침 날씨가 이어지는 2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이 두꺼운 옷차림을 한 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월수입이 400만원 이상인 고임금 근로자가 전체 임금근로자 중 27.5%를 차지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00만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 비중도 1.4% 포인트 늘어 전반적으로 고임금층이 늘어나는 양상이다.
반면 최저임금 인상으로 명목소득이 전반적으로 올라갔지만, 국내 임금 근로자 5명 중 1명(19.5%)은 여전히 월 200만원도 받지 못해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28일 국가데이터처(전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임금근로자 수는 전년보다 27만7000명 늘어난 2241만5000명이었다.
임금 수준별로는 200만~300만 원 미만 소득자가 30.6%로 가장 많았고, 400만 원 이상은 27.5%였다. 이어 300만~400만 원 미만이 21.9%, 100만~200만 원 미만 9.9%, 100만 원 미만 9.6% 순이었다.
임금근로자 5명 중 1명(19.5%)은 월급이 2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전년 대비로 보면 500만 원 이상(1.4%포인트)과 100만 원 미만(0.2%포인트) 비중이 함께 늘었다. 반면 200만~300만 원(-1.6%포인트), 100만~200만 원(-0.8%포인트) 구간은 줄었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최저임금도 올랐고 명목 임금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고소득 구간의 비중이 늘어났지만 100만 원 미만 근로자 비중도 높아졌다”며 “저임금 근로자가 늘어난 것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나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산업별로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1.1%)에서 400만원 이상 고임금자 비중이 가장 높았고, 정보통신업(51.1%), 금융·보험업(49.9%)이 뒤를 이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