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위조 명함 사용해 경기도 공무원 사칭한 노쇼사기 발생

본문

btd70e3dd3a819759f618c97b5341b88a2.jpg

경기도 종자관리소 사칭범의 위조 명함. 연합뉴스.

최근 경기도 도청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범죄로 5000만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다. 사칭범은 공무원 명함을 위조해 피해자를 속였다고 한다.

29일 경기도는 지난 23일 경기도종자관리소 소속 공무원을 사칭한 사칭범이 A건설 업체에 전화해 "농수로 개선 공사계약을 진행하겠다"며 위조된 명함 사진 파일을 보내고 돈을 가로챘다고 밝혔다.

명함에는 경기도 로고와 함께 '○○○ 주무관'이라는 이름, 휴대전화 번호, 사무실 주소, 이메일 등이 적혀 있는데, 글꼴과 디자인이 진짜 명함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다.

다만 이메일 도메인이 도에서 쓰는 'gg.go.kr'이 아닌 'korea.kr'로 표기된 점이 차이다.

사칭범은 "농수로 개선 공사에 앞서 다른 현장에 급히 처리할 일이 있다"며 다른 업체의 자재를 A사가 대신 구매한 후 대금을 송금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피해 업체는 5750만원을 송금했고, 추가 대금 대납 요구를 받은 뒤 경기도종자관리소에 직접 문의를 남겼다가 사기임을 알고 뒤늦게 경찰에 신고했다.

이처럼 '대리 구매'를 요청하는 방식은 최근 빈번한 '노쇼사기'의 전형적인 수법이다. 사칭범들은 피해사인 B사 측에 "C사에 대리 구매를 해달라"고 요청하고, C사인 척 연락을 받아 B사가 송금한 돈을 가로채고 연락을 끊어버린다.

경기도가 조사한 결과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경기도종자관리소 직원을 사칭한 유사 범죄가 총 5건 있었다. 4곳은 실제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다.

도청 공무원 사칭 사기범죄는 올해 들어 벌써 세 번째다.

앞서 지난 7월과 8월에도 공기호흡기나 심장제세동기 구매 대행을 빌미로 도내 중소기업 2곳이 각각 1000만원과 3000만원을 사기당했다.

서기천 경기도 총무과장은 "도청 공무원이 업체에 직접 연락해 거래를 요청하거나 입금을 요구하는 일은 절대로 없다"며 "공공기관 명의의 공문이나 명함을 받을 경우, 반드시 경기도청 누리집이나 경기도 콜센터를 통해서 사실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