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자꾸 초대되는 텔레그램 단체방 조심…미 증시 랠리에 불법 리딩방 주의보

본문

bt5d5a3464c277556b378dd04939db7384.jpg

불법 리딩방. 사진 금융감독원 제공

10월 전에는 꼭 사세요. 4538% 상승합니다. 작년에 저를 믿고 추천 종목 산 분들은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있어요.

지난 8월 A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에서 ‘주식투자 전문가’라는 B씨의 게시글을 발견했다. B씨가 운영하는 비공개 텔레그램 채팅방에 들어가니, 특정 미국 주식 종목의 매수 가격과 시점을 알려줬다. 이를 믿고 산 주식 가격은 10% 이상 올랐고, A씨는 거액을 들여 추가 매수했다. 하지만 약 3개월 뒤 주가는 85% 가까이 급락했다. A씨가 항의하자 B씨는 “전액 보상해주겠다”고 했지만 이내 잠적했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해외주식 투자 열기에 편승해 SNS로 투자자들을 현혹하는 불법 리딩방과 관련해 29일 소비자 경보를 내렸다. 미국 등 해외 증시가 랠리가 계속되면서 피해도 커졌기 때문이다.

bt69f6928a5981ea58a491c9562195ba8a.jpg

불법 리딩방. 사진 금융감독원 제공

금감원에 따르면, 불법 업자들은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DM)를 보내거나 무작위로 텔레그램 단체 채팅방에 초대한 뒤 관심을 보이는 이들에게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등 SNS 비밀방 링크를 보낸다. 링크를 따라 입장하면 다른 투자자들의 ‘수익 인증’ 캡쳐본이나 ‘기관 매수 포착’ 같은 글이 올라온다.

피해자들이 처음 몇 번 투자해서 이익을 얻으면 “투자 금액을 높이면 더 좋은 정보를 주는 교육반에 들어갈 수 있다”고 속여 대량 매수를 유도한다. 이후 이들이 주식을 대거 사들여 주가가 오르면 자신들이 보유한 주식을 매도해 잠적하는 식이다.

이들은 미국 나스닥 등에 새로 상장돼 국내엔 잘 알려지지 않은 종목을 미끼로 투자를 유도했다. 또 주가가 폭락한 뒤 피해자들에게 제3자인 척 접근해 “피해 금액을 대신 받아주겠다”며 법적 대응 비용 등을 명목으로 돈을 더 요구하기도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모르는 사람이 SNS와 이메일 등으로 접근해 해외주식 투자를 권유하면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