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9월 복귀 전공의도 내년 2월 전문의 시험 본다
-
12회 연결
본문
1년 7개월간의 의·정 갈등 끝에 지난 9월 복귀한 전공의들에게 정부가 내년 초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응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지난 7월 복귀한 의대생에겐 추가 의사 국가시험 기회를 주기로 했다.
29일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의 내년도 전문의 자격시험 및 레지던트 선발, 의사 국가시험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수련·교육 현장의 의견, 의료 인력 수급 관리, 수련 질 확보, 공정한 시험 제도 운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통상 의대 졸업 뒤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일반의가 된다. 이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의 수련 과정을 거쳐 매년 2월 치르는 시험에서 합격하면 전문의 자격을 얻는다. 그런데 지난 9월 복귀한 인턴과 레지던트 마지막 연차는 내년 8월에야 수련이 끝난다. 원래대로라면 수련을 마치고 6개월간 기다렸다가 내후년 2월에 지원해야 한다. 내년 수련 완료 예정인 2000여 명 중 1300여 명이 8월에 수련을 마친다.
하지만 복지부는 이들에게도 이례적으로 내년 2월 전문의 시험,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응시 자격을 주기로 했다. 6개월의 공백 없이 현장에서 일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다만 2월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레지던트 마지막 연차는 8월 말까지 수련을 마쳐야 한다.
또한 복지부는 내년 8월 의대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국가시험을 추가로 실시하기로 했다.
지난 7월 의대생 복귀 발표 당시 대학 총장들의 건의, 의료인력 수급 관리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내년 하반기 의대 졸업예정자는 1500여 명이다.
이 방안이 정부의 정책 신뢰도를 낮출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정부를 믿고 먼저 복귀한 전공의·의대생이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병원을 지키며 환자를 돌본 소수의 전공의와 의료진의 헌신 덕에 병원의 최소 기능이 유지됐다”라며 “복귀 전공의에 대한 무조건적인 구제, 특혜 조치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