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李 "北·中쪽 잠수함 추적 제한" 발언…트럼프엔 "다른 국가들 …

본문

bt51717528a4fac751a8824f490702a0a2.jpg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한미 확대 오찬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지난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 추적이 제한된다”며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요청한 것과 관련, 통역은 이를 “다른 국가들의 해저 활동에 대응하기 어렵다”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라를 특정한 게 아니라는 대통령실의 해명 취지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확대 오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핵(원자력)추진 잠수함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통령께서 결단해 주면 좋겠다”고 제안하면서 “디젤 (추진)잠수함이 잠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들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7시 53분 언론 공지를 통해 “해당 표현은 단순히 북쪽, 중국 방향의 우리 해역 인근에서 출몰하는 잠수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 중국 쪽 잠수함’이 특정 국가의 잠수함을 뜻한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었다. 외교적 논란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해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백악관 영상 등을 통해 정상회담 당시 동시통역으로 트럼프에게 전달된 내용을 보면 혼선이 있을 수 있다. 회담 당시 통역은 해당 발언을 “디젤 잠수함으로는 다른 나라들의 해저 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대응할 수 없다(They can not really effectively monitor and counter any undersea activities from other countries)”고 번역해 전달했다. 통역이 국명을 댄 것은 아니지만, 이는 “특정 국가의 잠수함을 지칭한 것이 아니다”라는 대통령실 설명에도 부합하진 않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저희 기술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여러 척 건조해서 한반도 동해, 서해에 해역 방어 활동을 하면 미군의 부담도 상당히 많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라고도 했다. 이에 대해 통역은 “순찰 및 기타 활동을 제공함으로써(by providing the patrol and other activities)”란 표현을 썼는데 한국이 핵잠을 운영하며 수행할 군사 활동의 폭이 더 넓어질 수 있단 여지를 남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