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트럼프 "매우 성공적 회담할 것" 시진핑 "美와 협력할 준비됐다…
-
15회 연결
본문
글로벌 경제와 안보의 향배를 가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중 정상회담이 30일(한국시간) 부산 김해공군기지 나래마루에서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념촬영을 시작하기 전 나와 시 주석을 맞이하며 먼저 손을 내밀었다. 빨간색 넥타이를 하고 단상에 선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악수하며 “다시 보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푸른빛 계열 넥타이를 맨 시 주석은 “저도 그렇다”고 화답했다.

30일 한국 부산 김해국제공항 인근 김해 공군기지에서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매우 성공적인 회담을 할 것이며,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고 말한 뒤 시 주석을 향해 “매우 강경한(tough) 협상가”라면서 “그건 좋지 않다”고 농담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서로를 잘 안다. 항상 훌륭한 관계를 가져왔다”고 강조했으며, 중국과의 무역협상 서명 가능성에 대해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장으로 장소를 옮겨 모두발언에서 시 주석을 “정말 오랜 기간 내 친구였던 이와 함께해 큰 영광”이라면서 “매우 기품있고 존경받는 중국 주석(president)”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미 많은 것들에 합의했으며, 지금 더 많은 것들을 합의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시 주석은 위대한 나라의 위대한 지도자이며, 난 우리가 오랫동안 환상적인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모두발언에서 “미중 관계는 전반적으로 굉장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국가 상황이 항상 다르기 때문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며, 미중은 친구가 돼야 한다”며 “중국의 발전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비전과도 함께 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협력을 지속해 양국의 공고한 근간을 만들고 양국 발전을 위한 건전한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30일 한국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양자 회담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시 주석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적 성과를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평화에 진심이고, 세계 여러 핫스팟에 대해 관심이 지대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 휴전협정에도 기여했고 말레이시아에서는 태국·캄보디아 국경과 관련한 협정을 도출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 같은 경우에도 나름대로 캄보디아와 태국 간의 국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할을 해왔다”며 “중국과 미국은 세계 대국으로서 전 세계 사안에 대해 큰 책임을 지고 있는 두 국가”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양국과 전 세계를 위해서 계속해서 기여하기를 원하며 양국과 세계에 중요한 사안들을 위해서 오늘 좋은 논의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두 정상은 모두발언을 마친 뒤 비공개 회담에 들어갔다.

30일 한국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이번 회담에서는 내달 만료 예정인 ‘초고율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꼽힌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조치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중 100% 추가관세의 유예 가능성도 주요 의제로 거론된다.
미국이 중국산 펜타닐 원료 밀수출 단속 미비를 이유로 부과한 ‘펜타닐 관세’를 현행 20%에서 10%로 낮추고,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하는 방안에 합의할 가능성도 관측된다.
앞서 양국은 지난 25~2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회담에서 무역전쟁 확전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정상 간 합의의 큰 틀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좌는 트럼프 집권 2기 들어 처음이며,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에 만난 이후 6년 4개월여 만이다.
이번 회담 결과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중 간 격화돼 온 무역 및 관세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과 함께 한국 부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김해국제공항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과 동행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