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챗GPT에 청년 일자리 직격탄…한은 “AI 노출로 청년 고용 감소”

본문

bt7b026daf4d3837cd5c0fc05e9080e572.jpg

AI 챗GPT 로봇 이미지. 중앙포토

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에서 인공지능(AI) 도입 초기에는 청년층 고용이 줄고, 중장년층 고용은 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챗GPT 등 생성형 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일수록 청년 고용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22년 11월 챗GPT 출시 이후 15~29세 청년층의 고용 변화를 국민연금 가입자 데이터를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AI 노출도를 1~4분위로 구분했을 때, 고용 감소는 주로 AI 노출이 많은 3~4분위 업종에 집중됐다. 반면 50대는 같은 업종에서 고용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2022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청년층 일자리는 21만 1000개 줄었으며, 이 중 20만 8000개가 AI 노출도가 높은 업종에 속했다.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 9000개 늘었고, 이 중 14만 6000개가 AI 노출 업종이었다.

업종별로는 챗GPT 출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의 청년 고용이 11.2% 감소했고, 출판업(-20.4%), 전문 서비스업(-8.8%), 정보 서비스업(-23.8%)에서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러한 차이에 대해 “청년층은 AI가 쉽게 대체할 수 있는 정형화된 업무를 수행하는 반면, 중장년층은 조직 운영이나 대인 관계 등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이 필요한 일을 맡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낮은 연차일수록 AI 활용으로 업무시간이 더 줄었다”며 “AI 대체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임금 측면에서는 아직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기적으로 임금 조정이 어려운 임금 경직성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AI 확산이 중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과 노동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시됐다. 연구팀은 “AI로 인한 효율성 제고가 새로운 산업 기회를 창출하면서, 청년층이 그 수혜를 받을 여지가 있다”며 “스타트업 지원 강화 등 청년층이 새로운 일자리 영역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