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현대차, 웃지 못하는 최대 매출…'관세 쇼크' 3분기 영업익 1…

본문

bt3e87d257ab2706c5d6b8902961949141.jpg

서울 강남구 양재동 현대차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현대차가 올해 3분기 미국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1조원가량 줄며 ‘관세 쇼크’를 겪었다.

현대차는 30일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조 5373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3조 5809억 원) 대비 29.2% 감소한 수치다.

반면 매출은 46조 7214억 원으로 8.8% 늘며 3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2조 5482억 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가 호조를 보였지만,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부담이 수익성을 크게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했다. 영업이익률은 5.4%로,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29일 한미 간 관세 협상 세부 합의로 미국의 대(對)한국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되면서, 향후 실적 악화는 완화될 전망이다.

3분기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량은 103만 8353대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HEV)와 아이오닉9 신차 효과로 18만 558대(6.3% 증가)가 팔렸으며, 해외 판매는 85만 7795대로 1.9% 늘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25만 7446대가 판매돼 2.4% 증가했다.

친환경차 부문도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상용 포함)은 25만 2343대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전기차 7만 6153대, 하이브리드차 16만 1251대가 판매됐으며, 유럽 시장의 수요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다.

현대차는 향후 통상 환경 변화와 신흥시장 판매 둔화를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으며,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2025년 연결 기준 연간 가이던스’ 달성 의지는 유지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9월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매출 성장률 목표를 5.0~6.0%, 영업이익률 목표를 6.0~7.0%로 제시했다.

또한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올해 3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2500원으로 책정해 전년(2000원) 대비 25% 인상했다. 현대차는 “총주주환원률(TSR) 최소 35%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CEO)는 “3분기 사상 최대 매출은 견조한 글로벌 판매와 전략적 대응의 결과”라며 “관세로 인해 수익성은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생산 전략 최적화와 다각화된 파워트레인 전략으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