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런베뮤 창업자 책, 산재 코너 배치"…독립서점들 '박…

본문

btb94a0d7ceb9624a6201ba48e5b027b26.jpg

사진 '책방 토닥토닥' 인스타그램 캡처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에서 근무하던 20대 직원의 과로사 의혹이 제기되자 독립서점들이 런베뮤 창업자가 낸 산문집을 산업재해 코너에 진열하는 등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북 전주의 독립서점 '책방 토닥토닥'의 운영자 A씨는 지난 28일 인스타그램에 런베뮤 창업자 료(본명 이효정)씨가 쓴 산문집 『료의 생각 없는 생각』표지 사진을 올렸다.

해당 표지에는 "고인의 이름은 정효원. 언젠가 자기 매장을 열겠다는 꿈을 짓밟은 런베뮤는 책임을 회피하지 마라. 산재신청이 부도덕한 것이 아니다. 노동자의 죽음을 외면하는 것이 부도덕한 것이다. 료! 생각 없이 회사 운영하지 말라"라는 글이 손글씨로 적혀 있었다.

A씨는 이 사진과 함께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는 "한 청년 노동자의 꿈이 꺾였다. 장시간 노동을 견디며 했던 것은 자신의 꿈도 있지만, 무엇보다 아마 자기 일과 회사에 대한 책임감 때문일 것"이라며 "그 책임감들이 모여 회사는 성장한다고 믿는다. 런베뮤의 태도에 분노하면서도 이 시대 청년 노동자들의 죽음을 다루는 회사의 태도들에 분노한다"고 말했다.

A씨는 료씨의 책 구절 "알 수 없는 누군가가 정한 속도보다는, 나의 시간을 들여 찬찬히 방향의 일관성과 누적을 추구하는 편이다. 맞지 않는 방향에 세상의 속도까지 내면 큰일이니까", "나로 태어나 내가 원하고 바라는 삶을, 타인을 해하지 않는 범주 안에서 살아가는 것이 당연한 것임을 미안해하지 않기를…"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한 청년 노동자는 료씨가 만든 회사가 정한 속도에 자신을 맞췄다. 부디 그 속도에 대해 료 씨가 책임 있는 발언을 했으면 한다"며 "그리고 타인을 해하지 않는 범주 안에서 살아가는 것을 추구했다면, 이번 일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A씨는 "부디 창업주 료씨가 자신이 쓴 책을 배신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청년 노동자 고 정효원 님의 명복을 빈다"고 덧붙였다.

bt35b121ff99a31ceb7ec555510592c4ee.jpg

사진 각 서점 인스타그램 캡처

제주의 독립서점 '책방 소리소문' 운영자 B씨도 같은 날 인스타그램에 『료의 생각 없는 생각』을 '산재·중대재해처벌법' 코너에 배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런베뮤가 산재를 인정하고 상식적인 대처를 할 때까지 『료의 생각 없는 생각』은 '산재' 코너에 박제해 놓겠다"며 "청년 노동자의 죽음을 애도한다"고 말했다.

강원 춘천의 독립서점 '고미당' 운영자 C씨 역시 29일 인스타그램에 『료의 생각 없는 생각』 사진을 올리며 "사람이 사람답게 대우받지 못한 일에 깊은 슬픔을 느낀다. 고인의 삶이 존중받길, 모든 노동이 존엄하길 바란다"고 적었다. 이어 "런베뮤의 산재 인정과 상식적인 대처를, 그리고 인간을 잃지 않는 태도를 기다린다"며 "책으로 기억하고 성찰로 연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충북 청주의 독립서점 '책방, 앤' 운영자 D씨도 같은 날 인스타그램에 "기사를 보지 못했던 손님이 오늘 『료의 생각 없는 생각』을 찾았으나 팔지 않았다"고 밝혔다. D씨는 "런베뮤 CEO의 개인사는 훌륭한지 모르겠으나 '나로 살 수 있는 용기' 보다 더 필요한 것은 주 80시간 이상 식사도 못 하고 일해야 했던 20대 청년의 죽음에 대해 밝히는 '용기'"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앞서 런베뮤 인천점에서 근무하던 정씨(26)씨는 지난 7월 16일 오전 8시 20분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족 측은 정씨가 사망 1주일 전 주 80시간 12분가량 일했고, 그 이전 석 달 동안에도 매주 평균 60시간 21분 일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런베뮤 측은 '주 80시간 근무' 등 유족의 일부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었으나, 직원 입단속 정황 등이 드러나자 결국 사과했다.

강관구 대표는 28일 회사 측 SNS에 본인 명의의 사과문을 올렸다. 그는 "당사의 부족한 대응으로 인해 유족이 받았을 상처와 실망에 깊이 반성하며, 진심을 담아 사과드린다"면서도 "과로사 여부는 회사가 판단할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답할 수 없음을 양해 부탁드린다. 사실이 명확히 밝혀질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열린 노동부 국정감사에서 "29일부터 인천점과 본사에 대한 기획감독을 실시했고, 위반 여부가 확인되면 전국 지점으로 확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