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학 정원, 수도권 11% 줄 때 지방은 30% 줄었다…“지역소멸 가속 우려”

본문

bta38f6984e5bd6e53c4c227abdfdb75c8.jpg

지난 7월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6학년도 수시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5년간 줄어든 대학 입학정원의 80% 이상이 지방대에 집중되면서 지방 소멸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서 공개한 비영리민간단체 대학교육연구소(대교연)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정원 상생 및 재정 지원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의 입학정원은 44만9168명이었다. 2010년(57만1141명)에 비해 21.4%(12만1973명) 줄었다.

이 기간 수도권 소재 대학의 정원은 20만5821명에서 18만1489명으로 11.8%(2만4332명)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은 36만5320명에서 26만7679명으로 26.7%(9만7641명)줄었다. 감축된 정원 12만1273명 중 80.1%가 비수도권 대학의 정원이었단 얘기다. 지역별 감소폭은 강원권(32.7%), 제주권(32.6%), 부산·울산·경남권(30.1%), 호남권(29.8%) 등 순으로 컸다.

그 결과 대학 입학 정원 중 수도권 비중은 2010년 36%에서 올해 40%로 높아지며 수도권 쏠림이 심화됐다는 게 대교연 분석이다.

대교연은 2045년 대학에 진학하는 만 18세 인구가 23만1000명으로 올해(45만6000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사립대 등록금은 1년 차에 1조5000억원, 4년 차에는 3조8000억원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의원은 “지방대 정원 축소는 곧 지역소멸을 앞당기는 결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지방대뿐 아니라 수도권 중하위권 대학도 생존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수도권·지방대 간 정원공유제, 성인학습자·외국인 유학생 확대, 부실대학의 연착륙 지원 등 정책 보완을 통해 경쟁이 아닌 상생 구조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