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北 핵잠 개발에 침묵했던 中 “한·미 핵 비확산 의무 이행해야”
-
18회 연결
본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선소들의 함선건조사업을 시찰하며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건조실태를 살폈다고 북한 노동신문이 지난 3월 8일 보도했다. 노동신문 캡처
중국 외교부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에 반발했다.
궈자쿤 대변인은 30일 중앙일보의 질의에 “중국은 한·미 양측이 핵 비확산 의무를 철저히 이행하고, 지역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일을 하고 상반되는 일을 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평화 발전의 길을 견지하며 방어성 국방정책과 선린우호의 외교정책을 시행한다”며 “시종 지역 평화와 안녕을 수호하는 굳건한 기둥이 되어왔다”고 주장했다.

30일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한국의 핵동력 잠수함 건조에 대한 중국측 입장을 묻는 중앙일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신경진 특파원
중국은 지난 3월 8일 자 북한 노동신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실태를 시찰했다는 보도가 나왔을 당시에는 별도의 논평을 하지 않았다.
왕원(王文) 인민대 충양금융연구원장은 본지에 “북한과 한국 양국이 경쟁적으로 서로 핵잠수함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지역 안보 정세에 긴장을 지속하고, 군비 경쟁의 나선형 상승의 위험한 신호”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하고 군비경쟁을 자극하는 어떠한 행위도 단호히 반대한다”며 “언제라도 우선 평화적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해야지, 군사적 우위로 압박하는 것은 남북 양국의 심층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언급을 삼가면서도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개발 가능성에는 줄곧 우려를 표시해왔다. 지난 2월 28일 중국 국방부는 한국의 장기 핵잠수함 개발 계획을 소개하며 한·미 핵 협정의 제약을 극복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