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네이버, 엔비디아와 손잡고 제조용 피지컬 AI 플랫폼 만든다

본문

btd6266e1874ec93793720c5b367a6a97a.jpg

이해진 네이버 의장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손잡고 국내 제조업 현장에 인공지능(AI)를 적용하기 위한 ‘피지컬 AI(AI가 실제 공간에서 인식·판단·행동하는 기술) 플랫폼’을 만든다.

네이버는 31일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이날 오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접견에서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오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공장·설비 등 실제 산업 현장을 디지털로 복제(디지털 트윈)해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단·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AI가 물리적 공간에서 스스로 작동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목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인프라, 디지털 트윈,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해 실제 산업 데이터를 클라우드 상에서 정밀하게 재현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엔비디아는 3D 시뮬레이션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와 로보틱스 시뮬레이터 ‘아이작 심(Isaac Sim)’을 제공한다. 디지털 공간에서도 실제 공정처럼 AI를 학습 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려는 것이다. 양사의 기술이 결합되면 제조 공정의 설계·운영·검증을 모두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설비 효율을 사전에 검증하고, 생산 데이터를 AI로 실시간 분석해 문제를 감지·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btaf0dba0cd00544b153238523677d5bb8.jpg

사람이 보여준 동작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에서 학습한 뒤, 실제 로봇이 그대로 따라 하는 모습.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기반의 ‘시뮬→현실(Sim2Real)’ 피지컬 AI 훈련 과정을 보여준다. 사진 엔비디아

네이버와 엔비디아는 공동 개발한 플랫폼을 우선 조선·에너지·바이오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각 산업별로 특화된 버티컬 AI 모델을 개발해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산업 현장에 맞춘 AI 기술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게 목표다. 네이버는 이를 ‘소버린 AI 2.0’을 실현하기 위한 첫 단계로 보고 있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 중심의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다면, 2.0은 이 모델을 국가 핵심 산업 등에 적용하는 개념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및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국내 제조 산업의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2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