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젠슨 황 “한국 AI 제조·소프트웨어 역량 갖춘 나라”…李 “적극 지원하겠다”

본문

btc0aaf98e032963ae4426491a3619c9c1.jpg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대표와 접견에서 젠슨 황과 접견하며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이재명 대통령과 한국 인공지능(AI) 대표 기업 회장 등을 만나 26만 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과 황 CEO 등은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이펙)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의 화백컨벤션센터에서 만나 이를 논의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반도체 설계가 적용된 블랙웰 GPU를 한국 정부에 5만장, 삼성·SK·현대차에 각각 5만장, 그리고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장 공급할 계획이다. 기간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다. 이날 면담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참석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GPU 26만 장 확보의 의미에 대해 “그 숫자면 현 시점 기준으로 봤을 때 세계 3강”이라며 “(AI 발전의) 굉장히 중요한 인프라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 중국이 GPU 확보에서 압도적으로 앞선 가운데 한국과 일본, 독일 등이 그 다음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하 수석에 따르면 현재 한국이 확보한 GPU(블랙웰 이전 세대 제품인 호퍼 기준)는 4만장이고, 추가로 엔비디아 공급을 받으면 30만장으로 다른 3위권 국가들보다 앞설 수 있다.

bt20bb9e832b7a82bb489bd93b3ca44360.jpg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접견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함께 참석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엔비디아가 한국에 GPU 대량 공급을 약속한 것은 한국이 AI 발전의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황 CEO는 비공개 회의에서 “한국은 AI에 관해 제조업과 소프트웨어 역량을 두루 갖춘 나라로, 특히 ‘제조 AI’ 분야에서는 한국이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했다.

이어 황 CEO는 “미국은 소프트웨어의 강점이 있고 있지만 제조업이 약하고, 유럽은 제조 강점을 나름 가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가 약한데, 한국은 양쪽에 다 강하다”며 “한국은 제조 AI 리더가 될 가능성이 무한대”라고 강조했다. 제조 AI란 제조업에 AI 기술을 적용해 생산 공정의 자동화 등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황 CEO는 이날 만남에서 한국과 협력 필요성을 수차례 강조했다. 모두발언에선 “한국은 이미 굉장히 깊은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성공한 기업가 분들도 있다”며 “세계에서 이렇게 훌륭한 산업역량을 지닌 나라는 한국 말고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함께 협업할 것이고, 한국 AI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도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목표로 삼아)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한국이 AI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역할을 해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전 단계 공정)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기업들과의 적극적 협력을 요청했다.

bt6af2d325a3df89c28cdc93040ebe5f92.jpg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접견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현대차, 엔비디아의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 협약 관련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이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대통령실

이 대통령은 “정부 입장에서 엔비디아의 (한국에 대한) 투자를 전폭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황 CEO가 전날 재계 인사들과의 ‘치맥 회동’에서 “오늘은 모두 공짜”라며 ‘골든벨’을 울린 것을 거론하며 “(한국에서) 대성공을 거둬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골든벨을 받는 상황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황 CEO는 “(한국의 AI 산업 발전)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고 답했다.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설정한 이 대통령은 지난 9월에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를 만나 AI 투자를 요청했다. 지난 1일엔 세계 최고 AI 소프트웨어 기업 오픈AI의 샘 앨트먼 CEO를 만나 AI 협력을 당부했다. 이번에 황 CEO를 만난 건 AI 관련 금융·소프트웨어에 이어 하드웨어 기업을 만났다는 의미가 있다.

한편 정의선 회장은 이날 접견실에 들어가며 이 대통령에게 “관세와 관련해 너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된 것에 감사를 표한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합의에 따라 자동차와 부품 관세 인하의 혜택을 보는 대표적 기업이다. 이 대통령은 “너무 고생 많이 했죠”라며 “현대차가 잘 되는 게 대한민국이 잘 되는 것”이라고 격려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4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