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킬체인의 눈’ 5번째 정찰위성 발사 성공…김정은 움직임 다 본다
-
4회 연결
본문

425 사업 마지막 5호기 위성이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오후 2시 9분(현지시간 2일 오전 1시 9분)에 발사됐다. 5호기는 발사 14분 뒤인 오후 2시 23분쯤 발사체와 분리돼 목표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다. 이후 오후 3시9분(한국시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사진 스페이스X
한국군의 독자 정찰위성 5호기 발사가 2일 성공적으로 실시됐다.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425 사업'의 마지막 위성까지 마무리되면서 한반도 상공에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감지할 '킬체인(Kill Chain·선제 타격 체계)'의 눈이 한층 정밀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국방부에 따르면 425 사업 마지막 5호기 위성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오후 2시 9분(현지시간 2일 오전 1시 9분)에 발사됐다. 5호기는 발사 14분 뒤인 오후 2시 23분쯤 발사체와 분리돼 목표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다. 이후 오후 3시9분(한국시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정찰 5호기는 고성능 영상 레이더(또는 합성 개구 레이더, SAR) 위성이다. 레이더 반사파로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주·야간, 날씨와 관계없이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다. 정찰 5호기는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위성 성능을 확인하는 우주궤도시험과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본격적으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신재민 기자
중대형 위성 확보 사업인 425사업은 1호기 전자광학(EO)·적외선(IR) 위성, 2~5호기 고성능 영상 레이더(SAR) 위성으로 구성된다. SAR과 EO의 영어 발음을 각각 딴 4와 25를 이어 붙여 425를 사업명으로 삼았다. 위성의 종류를 달리한 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 장점을 극대화하려는 취지다
정부는 지난 2017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통해 '425사업' 추진 기본전략과 체계개발 기본계획을 의결했다. 이후 1조 2000억원을 투입해 800~1000㎏의 중·대형 위성 5기를 전력화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군 당국은 2023년 12월 1호기인 전자광학EO·IR 위성을 발사했고 지난해 4월부터 올해까지 SAR 위성 3기(2~4호기)를 차례로 상공에 띄웠다. 1~3호기는 전력화 작업이 마무리됐고 지난 4월 발사된 4호기는 운용시험평가를 마치고 결과 판정 중이다.

한국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지난해 4월 8일(한국시간) 8시 17분에 정상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사진 국방부
한층 정밀해진 ‘킬체인’의 눈
425 사업은 독자적인 우주 감시·정찰 자산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미국 자산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북한의 핵심 군사 기지는 물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해상도가 30㎝ 수준(가로·세로 30㎝를 한 점으로 인식)인 SAR 위성은 차량 종류와 사람의 움직임까지 특정할 수 있다. 때문에
정찰위성은 킬체인의 핵심 자산으로 꼽힌다.
킬체인은 북한이 핵·미사일·방사포·대량살상무기(WMD)를 쏘려고 할 경우 이를 미리 제거하는 군사 작전이다. 탐지(Find)→확인(Fix)→추적(Track)→조준(Target)→교전(Engage)→평가(Assess) 등 6단계를 거친다. 평가에서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다시 탐지로 간다. 그래서 파괴(Kill)하는 순환 구조(Chain)이기 때문에 킬체인이라고 불린다. 5개의 정찰위성이 목표를 탐지하고 추적하게 되면서 군은 탐지에서 평가까지 30분 안에 킬체인을 완수한다는 목표에 한층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한국군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이 한국시간 지난해 4월 22일 오전 9시 48분(현지시간 21일 오후 8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 SpaceX 제공 영상 캡처
군은 소형(500㎏ 이하)·초소형 위성(100㎏ 미만)도 띄울 계획이다. 내년부터 2028년까지 소형위성 약 20기, 2028년부터 2030년까지 초소형 정찰위성 40여기 발사를 목표로 삼고 있다. 4·25 사업의 2차 사업도 구상 단계다. 군의 계획이 순조롭게 실시되면 30분 간격으로 북한 전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한층 촘촘해진 감시망을 갖추게 된다. 현재 발사된 정찰위성 5개로는 2시간 간격으로 한반도를 관찰할 수 있다.
군 정찰위성은 대북 감시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 등 주변국의 위협 활동도 감지할 능력을 갖추는 효과도 있다. 국방부가 4·25 사업과 관련해 “주변국과의 분쟁 소요도 입체적으로 식별 가능”해진다고 밝힌 배경이다. 안규백 국방부장관은 “5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더욱 정교하고 밝은 눈’을 갖게 됐다”며 “24시간 전천후로 한반도 전역을 감시 정찰할 수 있는 독자적인 능력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