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GPU 26만장 확보한 한국, "언어 AI에 피지컬 AI 더한다…국가 AI 전략 투트랙 확장…
-
12회 연결
본문
한국이 텍스트 중심 국가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제조 현장에 활용되는 피지컬 AI 모델(현실 세계 물리적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AI)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투트랙’ 국가 AI 전략을 본격화한다.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우선 확보하면서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대통령실
무슨 일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위 관계자는 2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글로벌 GPU 쟁탈전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26만장 확보는) GPU 공급 안정화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더해 피지컬 AI 모델 개발까지 국가 AI 전략을 ‘투트랙’으로 확장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거대언어모델(LLM) 분야에서 글로벌 빅테크 모델에 대한 추격의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제조 강국의 이점을 살려 독자적인 피지컬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 수석은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GPU 확보량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AI 인프라를 갖추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측은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로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확보한 GPU는 정부에 최대 5만장, 삼성전자와 현대차그룹, SK그룹에 각각 5만장씩,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장이 투입된다.
‘제조업 AI 혁신‘ ‘글로벌 AI 선도국’ 두 토끼 잡는다
이번 GPU 26만장 확보를 통한 가장 큰 수확은 국내에 독자적 피지컬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기반을 갖춘 한국이 확보한 GPU를 통해 제조 특화 AI 모델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면 ‘국가 핵심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과 ‘글로벌 AI 선도국’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천문학적인 자본력에 밀려 글로벌 AI 모델을 따라잡는데 급급했던 LLM 분야와 달리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셈이다.

김주원 기자
한국은 최적의 ‘넥스트 AI’ 파트너
실제 AI업계에선 ‘피지컬 AI’가 차세대 AI가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메타 수석인공지능(AI) 과학자인 얀 르쿤 뉴욕대 교수는 지난달 27일 ‘글로벌 AI 프론티어 심포지엄 2025’ 기조연설에서 “현재 대형 언어모델(LLM)은 근본적 한계에 도달했다”고 지적했다. 다음 단어를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현재 AI의 자리를 인간처럼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추론하는 AI가 대체할 것이라는 취지다.
엔비디아도 현실 세계 물리적 데이터를 학습하는 ‘피지컬 AI’ 생태계 구축에 일찌감치 뛰어들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1월 ‘CES 2025’에서 “챗GPT와 같은 혁신이 로봇공학 분야에도 곧 나타날 것”이라며 “우리는 처리와 추론, 계획과 행동이 가능한 피지컬 AI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의 아들인 스펜서 황 엔비디아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는 최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피지컬 AI를 통해 기계가 세상을 만지고, 느끼고, 스스로 배우는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은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매력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앞으로는
한국이 ‘피지컬 AI’ 생태계 글로벌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한 국내 피지컬 AI 기업 대표는 “피지컬 AI 분야는 LLM과 달리 데이터 수집 방법론이 표준화되지 않았다”며 “자본 경쟁이 아닌 기술 경쟁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한국이 발 빠르게 나선다면 중국과 견줄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공 사례가 모인다면 글로벌 진출도 가능하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피지컬 AI 플랫폼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국내 제조 기업들의 AX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국내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면 궁극적으로 해외 진출에도 나설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관건은 제조 기업들이 피지컬 AI에 빠르게 정착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유범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능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은 “GPU를 대량 확보하면서 빅테크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가 자체적으로 만든 피지컬 AI를 통해 다양한 연구·사업 성과를 내놓을 수 있게 됐다”며 “피지컬 AI 모델이 제조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할 수 있게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사람처럼 생긴 휴머노이드 로봇은 수십 년간 ‘곧 다가올 미래’의 상징이었다. 박스를 들고 계단을 오르고, 재주를 넘는 로봇들이 박수를 받았다. 하지만 환호의 끝엔 언제나 똑같은 질문이 남았다. “그래서 이 로봇 어디에 쓸 수 있나?” 그런데 올해부턴 분위기가 달라졌다. 로봇이 현장 데이터 수집의 주체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다. 어떤 회사는 공장 바닥에 세워 하루 여덟 시간씩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하고, 또 다른 회사는 직원 거실에 들여보내 청소와 빨래를 시킨다. 이 데이터가 곧 로봇의 근육이자 두뇌가 되는 선순환이 시작됐다.
최전선에서 빠르게 달리고 있는 건 미국과 중국이다. 방식은 다르지만 목표는 같다. 휴머노이드를 산업과 일상의 인프라로 심는 것. 이들은 먼저 도달한 미래 현장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을까. 팩플이 직접 미국과 중국의 현장에서 뛰고 있는 휴머노이드의 개척자들을 직접 만나 보고 들은 현장을 ‘휴머노이드 시대 개척자들’ 시리즈로 전한다.
① “새우 까게 하는 게 최종 목표” 집안일 로봇 만든 그 CEO 누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8872
② 미국 챗GPT 나오자 각성했다…“휴머노이드 세일” 중국 노림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9933
③ 미·중 ‘피지컬 AI’ 패권 경쟁…진짜 싸움은 근육 아닌 두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1536
④젠슨황 아들에 로봇을 물었다, 엔비디아 유니버스의 ‘끝판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4345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