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로봇 도입 후 고용률, 45세 미만 늘고 중장년층 줄었다

본문

로봇 도입으로 일자리가 늘고 고용의 질도 나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런 긍정적 효과는 연령대와 업종별로 차이가 뚜렷했다. 젊은층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45세 이상 중장년층의 고용률은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일 발간한 ‘노동리뷰 10월호’에 따르면, 2005년 이후 로봇 도입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에서 고용률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를 뜻한다. 고용률이 올라갔다는 건 로봇이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는 효과보다, 생산성을 높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더 컸다는 의미다.

대신 연령대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45세 미만 젊은층의 고용률은 올라갔지만, 45세 이상 중장년층은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25∼34세에서 고용률 증가(0.68%포인트)가 가장 두드러졌고, 45∼54세에서는 감소폭(-0.37%포인트)이 가장 컸다. 보고서는 이를 로봇 도입에 대한 적응 능력 차이에서 비롯된 세대 간 격차로 해석했다.

임금 수준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에서 상승했지만, 비제조업의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로봇 도입으로 새로 창출된 일자리 중 약 83%가 상용직으로, 일자리의 질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비제조업은 고용 규모는 늘었지만, 증가한 일자리의 상당수가 임시·일용직에 그쳐 질적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구자현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로봇 도입은 다양한 계층에서 고용과 소득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특히 로봇 활용 적응도가 낮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재교육과 기술 숙련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07 건 - 1 페이지